외부 위원 6명·이인용 사장 첫 회의…각 계열사 준법프로그램 현황도 설명
![김지형(오른쪽 두 번째)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 사무실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5/SSI_20200205170712_O2.jpg)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김지형(오른쪽 두 번째)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 사무실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05/SSI_20200205170712.jpg)
김지형(오른쪽 두 번째)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5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 사무실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해 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삼성 준법감시위는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김 위원장을 포함해 외부 위원 6명과 삼성 내부 인원인 이인용 삼성전자 대외협력담당 사장이 모두 참석했다. 지난 3일 삼성의 7개 계열사가 이사회 의결 절차를 마쳐 준법감시위가 출범한 이후 이뤄진 첫 공식 회의다. 기구를 시작하는 모임이기 때문에 논의할 내용이 방대해 오후 3시에 시작해 회의를 끝마칠 때까지 6시간이 걸렸다.
준법감시위는 첫 회의에서 그동안 삼성이 내부적으로 운영해 온 준법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 대한 질의응답에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삼성 7개 계열사의 준법감시조직 책임자들이 참석해 준법위원들에게 해당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7개사나 되어서 이야기 듣는 데에 시간이 오래 걸렸다”면서 “설명을 들으면서 위원들도 의견을 주고받았다.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준법감시위는 삼성 7개 계열사의 대외후원금 지출 및 내부거래를 사전에 검토하게 된다. 준법위반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즉시 위원회가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준법감시위는 7개 계열사에 대한 조사와 시정 조치 등을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을 갖게 된다.
준법감시위는 이날 1차 회의를 시작으로 매달 1회씩 정기적으로 회의를 이어 가기로 했다. 이번 달 중순에 2차 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두 번째 회의에서는) 앞으로 우리가 어떤 내용을 이슈로 할지 위원 각자가 의견을 모으기로 했다”면서 “여러 가지 계획 중 하나가 (사회적) 의견 수렴을 듣는 것이다.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토론회나 전문가 의견 청취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사무국의 독립성을 강화하고자 외부인사인 심희정 변호사가 사무국장을 맡기로 했다. 준법감시위는 상설 기구로 운영될 계획이다. 위원들의 임기는 2년으로 정해졌으며 연임할 수 있다. 고계현 소비자주권시민회의 사무총장은 “구성원들끼리 이견이 있거나 하지는 않았다. (내부 인원인) 이 사장은 주로 듣는 역할을 했다”면서 “(이번 회의서는) 주로 큰 틀을 만드는 작업을 했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02-06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