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산업협회 안기현 상무
“대기업에서 퇴직한 인력을 중소기업에서 흡수하지 못하는 게 문제입니다.”![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4/SSI_20181114174052_O2.jpg)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4/SSI_20181114174052.jpg)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상무
특히 인공지능(AI) 시장을 겨냥한 시스템 반도체 육성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메모리 반도체는 (경쟁국과) 초격차를 유지하고 있지만 시스템 반도체는 우리나라가 미국, 중국, 일본, 대만을 좇아 가는 형국”이라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을 갖는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를 해외에서 수입하면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안 상무는 생산시설 투자와 관련해 “우리나라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모두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국내 생산시설 투자 환경은 예전보다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삼성전자가 반도체와 액정표시장치(LCD) 생산라인의 질병 피해자에게 보상을 하도록 한 삼성 백혈병 조정위원회의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한 점 등을 언급한 것이다. 그는 “환경, 안전, 보건 등의 이슈가 부각되면서 생산시설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투자 환경을 조성해 줘야 점진적으로라도 투자가 진행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학에서 현장에서 필요한 인력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안 상무는 “반도체산업이 성장하는 만큼 인력 양성도 이뤄져야 하는데 대학의 인력 양성과 기업의 인력 수요 사이에 ‘미스 매치’(부조화)가 발생하고 있다”며 정부와 업계, 대학의 협력 체계 구축 필요성을 제기했다.
안 상무는 ‘반도체 고점’ 논란에 대해서는 “반도체 경기 둔화는 세계 경기 흐름에 종속돼 있기 때문에 반도체만 나빠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오히려 향후 공급이 늘어날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새로운 플레이어가 나오면 공급량이 늘어나는데 중국이 새로운 플레이어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8-11-15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