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거래 활성화를 위한 ‘3·22 대책’이 나온 지 한달이 지났지만 부동산시장은 더 싸늘해졌다. 취득세 감면,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 거래 활성화를 위한 주요 방안이 제시됐으나 후속 조치의 지연과 무산 등으로 인해 시장의 혼란이 가중됐고 정부 정책의 불확실성만 키웠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의 아파트 거래는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아파트 거래량 정보를 기준으로 볼 때 지난달보다 절반 이상 줄었고 매매가격 역시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3·22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지 꼭 한달이 지났지만 서울과 수도권 아파트는 매매와 전세 모두 3주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주 아파트 매매시세는 서울이 0.02%, 신도시가 0.01% 각각 내렸고 수도권은 가격 변동이 없었다.
서울은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의 급락으로 송파(-0.10%), 강동(-0.08%), 광진(-0.04%), 금천(-0.04%), 서초(-0.03%), 성북(-0.03%), 강남(-0.02%), 양천(-0.02%)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하락세를 나타냈다. 신도시도 중대형 아파트의 거래가 끊긴 일산(-0.02%)과 분당(-0.01%)이 약보합세를 주도했다.
봄 이사철이 끝난 전세시장은 서울이 3주 연속 0.01%의 변동률을 보였고 수도권은 0.04% 올랐으나 상승폭은 조금씩 둔화되는 추세다. 신도시는 전셋값 변동이 없었다. 서울에서는 강동(-0.25%), 광진(-0.04%), 서초(-0.02%), 강남(-0.01%)에서 전셋값이 각각 떨어진 반면 도봉(0.06%), 구로(0.05%), 금천(0.04%) 등 상대적으로 전셋값이 저렴한 외곽 지역에서는 소폭 오름세를 나타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4-25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