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1만 3812건, 이베스트 1260건 등
전산장애 또 불거져…업계 고질적 문제
“증권사 임시방편 대책…감시 강화해야”
![픽사베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9/SSC_20230509174311_O2.jpg)
![픽사베이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5/09/SSC_20230509174311.jpg)
픽사베이 제공.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증권사별 민원 건수는 DB금융투자가 전분기의 14건에 비해 98564% 폭증한 1만 3813건으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이베스트투자증권이 전분기 5건에서 1260건으로 25100% 증가했고, 신한투자증권은 전분기(59건)에 비해 25% 줄긴 했으나 올해 1분기 44건으로 3위를 기록했다. 뒤이어 대신(39건)·하나(30건)·NH투자(23건)·한국투자(21건)·미래에셋증권(19건) 등의 순이었다.
증권사 민원이 급증한 것은 홈트레이딩시스템(HTS),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 홈페이지 등 전산 문제로 고객들이 제때 매매하지 못해 피해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DB금융투자 측은 “지난 3월 2일 바이오인프라 상장일에 MTS 장애가 발생해 민원이 늘었다”며 “피해 고객들에게 보상안을 제시해 현재 95%정도 합의가 이뤄진 상태”라고 전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측도 “서버 하드웨어 고장으로 접속이 안 된 탓에 민원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올해 1분기 전체 증권사 민원 건수는 총 1만 5381건으로 전분기(283건)에 비해 5335% 급증했다.
전산 장애 사고는 이미 업계 전반에 자리 잡은 고질적 문제다. 지난해 8월 한국투자증권은 전산 장애로 주식거래가 약 15시간 중단돼 정일문 사장이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고, 올해 1월에는 증권업계 1위 미래에셋증권이 이미 매도한 주식을 또 파는 전산 오류를 빚기도 했다.
타 업권에 비해 피해 규모도 크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실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2년 8월까지 전산 장애에 따른 피해 추정 금액은 증권(금융투자)이 263억원으로 전 업권 가운데 압도적인 비중(75.7%)을 차지했다. 사건이 터질 때마다 증권사들은 재발 방지를 약속해왔지만, 매년 이어지는 전산 장애 문제로 인해 증권업 전반의 신뢰에 악영향을 준다는 우려가 나온다.
강민국 의원은 “증권사와 금융당국의 반복되는 대책 마련에도 불구하고 금융 업권 전산장애와 이로 인한 피해가 급증했다는 것은 이들의 대책이 임시방편에 불과하기 때문”이라며 “금융당국의 금융회사별 IT 실태평가에 전산장애를 반영해 사고 예방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