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2.10.12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2/SSI_20221012100929_O2.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2.10.12 사진공동취재단](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12/SSI_20221012100929.jpg)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정기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2.10.12 사진공동취재단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12일 오전 9시부터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0%로 0.50%포인트 인상했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4·5·7·8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인상도 한은 역사상 최초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8·11월, 올해 1·4·5·7·8월과 이날까지 약 1년 2개월 사이 0.25%포인트씩 여섯 차례, 0.50%포인트씩 두 차례 등 모두 2.50%포인트 높아졌다.
금통위는 앞서 “당분간 0.25%포인트씩 점진적으로 인상하겠다”는 포워드가이던스(사전예고 지침)를 제시했지만, 이날 이를 깨고 역대 두 번째 빅 스텝에 나섰다. 무엇보다 물가 오름세가 뚜렷하게 꺾이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9월 소비자물가지수(108.93)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향후 1년의 물가 상승률 전망에 해당하는 기대인플레이션율도 7월 역대 최고 기록(4.7%) 이후 석 달 연속 4%대를 유지하고 있다.
미국과의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이에 따른 환율·물가의 추가 상승 위험도 빅 스텝 결정의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빅 스텝 직전까지 한국(2.50%)과 미국(3.00∼3.25%)의 기준금리(정책금리) 격차는 최대 0.75%포인트였다.
한미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환율이 더 뛰면서 어렵게 정점을 통과 중인 인플레이션도 다시 들썩일 수 있다.
이날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50%포인트 인상하면서 미국과의 격차는 일단 0.00∼0.25%포인트로 좁혀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