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경제 성장” 몰표… 국민은 “복지 확대” 중점

전문가 “경제 성장” 몰표… 국민은 “복지 확대” 중점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22-04-20 20:44
수정 2022-04-21 01: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달 출범 ‘새 정부 우선 과제’ 물었더니

KDI, 1500명 설문조사 인식차
30대 이상 ‘경제’ 20대는 ‘복지’
전문가, 균형발전·공정 기회順
국민 23.3%는 “부동산 정상화”

이미지 확대
새달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의 정책과제를 묻는 설문조사에서 전문가들은 ‘경제성장’에 몰표를 던진 반면 일반 국민들은 ‘복지 확대’를 중시하는 결과가 나왔다.

국민 중 30대 이상 연령대는 ‘경제성장’을 최우선 과제 1위로 꼽았지만 20대는 ‘복지 확대’를 1순위 과제로 뽑았다. 경제 전문가와 국민 간, 세대 간 인식 차가 드러난 조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가 미래전략 콘퍼런스’를 열고 송인호 KDI 경제정보센터 소장이 실시한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는 지난달 17~21일 경제 전문가 518명, 일반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새 정부에서 추구해야 할 최우선 국정 목표’에 대해 경제 전문가와 국민 모두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를 선택했다. 그러나 경제 전문가의 46.9%가 이 항목을 최우선 과제로 꼽은 반면 국민 조사에서는 29.2% 정도의 호응이 나왔다.

경제 전문가들은 이어 ‘균형발전 및 사회적 통합 강화’(32.2%), ‘공정한 경쟁과 기회의 보장’(13.9%)을 새 정부 과제로 제시했다. 국민 조사에서는 ‘균형발전’(22.0%)과 ‘복지 확대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22.0%)이 중요하다는 답변이 나왔다. 전문가 조사에서는 후순위로 밀린 복지 확대에 대한 요구가 국민 조사에서 더 비중 있게 제시된 셈이다.

국민 조사를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세대 간 차이가 두드러졌다. 최우선 과제로 ‘경제성장’을 택한 비중이 4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30% 이상으로 조사됐지만 2030 세대에서는 20%대를 기록했다. 그나마 ‘경제성장’을 1순위 과제로 꼽은 30대와 다르게 20대에서는 ‘복지 확대’(29.5%), ‘공정한 경쟁’(23.8%)에 이어 ‘경제성장’(23.8%)이 세 번째 과제였다.

새 정부의 단기 과제를 묻는 질문에서도 경제 전문가들은 ‘경제활력 제고’(24.3%)가 가장 시급하다고 답한 반면 국민들은 ‘부동산 정상화’(23.3%)를 서두르라고 주문해 인식 차를 보였다.
2022-04-21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