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10/SSI_20210310133108_O2.png)
![유튜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3/10/SSI_20210310133108.png)
유튜브
전 세계 유튜버들이 오는 6월부터 미국 시청자로부터 얻은 수입에 대해선 미국에 세금을 내게 된다.
구글이 유튜버들의 미국 내 수입에 대해 세금을 원천징수한 뒤 광고 수익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구글은 9일(현지시간) “미국 시청자로부터 얻은 수입에 대해 이르면 2021년 6월부터 구글이 미국 세금을 원천징수할 수 있다”면서 “최대한 빨리 애드센스에서 미국 세금 정보를 제출해 주시기 바란다”고 공지했다.
유튜브에서 수익을 내는 유튜브파트너프로그램(YPP)에 가입한 크리에이터라면 미국 시청자로부터 수익을 창출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일단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한다.
만약 5월 31일까지 세금 정보를 제출하지 않으면 전 세계 총 수입의 최대 24%를 공제할 수 있다고 구글 측은 밝혔다.
세금이 발생하는 수입은 미국 시청자로부터 발생한 광고·유튜브프리미엄·슈퍼챗(후원) 등이다. 원천징수 세율은 최대 30%다.
구글은 이번 원천징수의 근거로 ‘비거주자 외국인 및 외국 법인에 대한 세금의 원천징수’를 규정한 미국 연방세법 제3장을 제시했다.
구글은 조만간 ‘미국 외 지역 크리에이터의 유튜브 수입이 미국 세법상 로열티로 간주된다’는 내용으로 서비스 약관을 변경할 예정이다.
다중 채널 네트워크(MCN)에 소속된 유튜버는 채널에 연결된 애드센스 계정에서 미국 세금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구글의 정책 변경으로 미국 외 지역 유튜버들은 미국에서 발생되는 수익 중 일부를 세금으로 내게 된다. 이에 따라 국내 유튜버들도 기존 수입이 줄어들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해외금융계좌 당해 연도 입금액 합이 5억원을 초과할 경우 소득을 의무적으로 신고하도록 하는 ‘국제조세조정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5일 국회에서 발의됐다.
그 동안 유튜버들은 유튜브를 통한 수입 현황에 대해 자진신고 하도록 돼 있었는데, 이 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유튜브를 통해 연 5억원 이상을 버는 유튜버들은 의무적으로 소득을 신고해야 한다.
국세청이 공개한 ‘2019년 귀속 1인미디어 창작자(유튜버 등) 수입금액 백분위’ 자료에 따르면 상위 1% 고수입자 27명이 연간 벌어들인 수입은 총 181억 2500만원으로, 이들의 평균 수입액은 6억 7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수입액(875억 1100만원)의 21%에 달하는 수치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