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업계 빅3의 실적이 ‘추풍낙엽’이다. 지난 상반기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하며 하반기 반등도 예상됐지만 부실 규모가 워낙 크고 노사 갈등의 악재 등이 겹쳐 경영 정상화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대중공업은 영업손실 6784억원으로 적자를 이어갔고, 삼성중공업은 영업이익 8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4% 감소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은 전년 동기 1조 9346억원에 비해 손실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를 이어갔다. 현대중공업의 3분기 매출은 10조 91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하락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부문 반잠수식시추선 계약 취소에 따른 선 손실 반영, 유가하락 등 해양부문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예상 손실 충당금 반영 등 구조조정 비용 증가가 영업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도 3분기 매출 2조 43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3%가 하락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올해 누적 기준으로도 1조 4372억원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지난 2분기 영업손실 3조 751억원이라는 사상 초유의 적자를 기록했던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에도 최대 2조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이 예상되면서 최악의 경우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방안까지 거론됐다. 앞서 산업은행을 비롯한 대우조선해양의 채권단이 회생지원금 지급을 보류하면서 노조의 동의서를 요구했지만 노조가 이를 거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저녁 노조에서 동의서를 제출기로 하면서 우선 한 고비는 넘기게 됐다. 앞서 채권단은 오는 28일까지 노조의 동의서를 받아오지 못할 경우 법정관리를 포함한 다른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고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내렸다.
노조의 동의서 제출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은 일단 채권단에서 지원하기로 했던 약 4조원의 지원금으로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됐지만 채권단이 보다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추후 갈등 가능성도 아직 남아있다.
이들 빅3의 실적 개선이 요원해 지면서 올해 국내 조선업계 실적은 역대 최악의 적자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빅3의 올해 총 적자 규모가 최대 7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6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3분기 현대중공업은 영업손실 6784억원으로 적자를 이어갔고, 삼성중공업은 영업이익 8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3.4% 감소를 기록했다.
현대중공업은 전년 동기 1조 9346억원에 비해 손실폭은 줄었지만 여전히 적자를 이어갔다. 현대중공업의 3분기 매출은 10조 918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7% 하락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조선부문 반잠수식시추선 계약 취소에 따른 선 손실 반영, 유가하락 등 해양부문 경영환경 변화에 따른 예상 손실 충당금 반영 등 구조조정 비용 증가가 영업손실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도 3분기 매출 2조 43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5.3%가 하락하면서 부진한 실적을 이어갔다. 올해 누적 기준으로도 1조 4372억원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지난 2분기 영업손실 3조 751억원이라는 사상 초유의 적자를 기록했던 대우조선해양은 3분기에도 최대 2조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이 예상되면서 최악의 경우에는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방안까지 거론됐다. 앞서 산업은행을 비롯한 대우조선해양의 채권단이 회생지원금 지급을 보류하면서 노조의 동의서를 요구했지만 노조가 이를 거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저녁 노조에서 동의서를 제출기로 하면서 우선 한 고비는 넘기게 됐다. 앞서 채권단은 오는 28일까지 노조의 동의서를 받아오지 못할 경우 법정관리를 포함한 다른 방안을 모색할 수밖에 없다고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내렸다.
노조의 동의서 제출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은 일단 채권단에서 지원하기로 했던 약 4조원의 지원금으로 급한 불은 끌 수 있게 됐지만 채권단이 보다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요구했을 것으로 예상되는만큼 추후 갈등 가능성도 아직 남아있다.
이들 빅3의 실적 개선이 요원해 지면서 올해 국내 조선업계 실적은 역대 최악의 적자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빅3의 올해 총 적자 규모가 최대 7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