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 수준에서 넉 달째 동결했다. 지난해 8월과 10월, 올 3월과 6월에 각 0.25% 포인트씩 총 1% 포인트가 내린 뒤 4개월째 현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번 동결은 시장의 예상과 부합한다. 최근 내수가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는 만큼 기준금리를 또 내리기보다는 그동안의 금리 인하로 인한 경기개선 효과를 더 지켜보자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기에는 급증하는 가계부채와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가계에 빌려준 자금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지난 8월 한 달간 9조 8000억원이 늘어났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줄어들면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금의 유출 우려가 커진다.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 인상을 유보해 제로금리가 유지되자 국내 금융시장에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추가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그러나 이주열 한은 총재는 “경기가 예상 경로대로 가고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 유보에 따른 추가 인하 가능성을 부인했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이번 동결은 시장의 예상과 부합한다. 최근 내수가 살아나는 모습을 보이는 만큼 기준금리를 또 내리기보다는 그동안의 금리 인하로 인한 경기개선 효과를 더 지켜보자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현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기에는 급증하는 가계부채와 미국의 금리 인상 가능성이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가계에 빌려준 자금은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지난 8월 한 달간 9조 8000억원이 늘어났다.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줄어들면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투자금의 유출 우려가 커진다. 지난달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금리 인상을 유보해 제로금리가 유지되자 국내 금융시장에선 한은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추가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졌다. 그러나 이주열 한은 총재는 “경기가 예상 경로대로 가고 있다”며 미국 금리 인상 유보에 따른 추가 인하 가능성을 부인했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