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시장 포화 커피 전문점 살길 찾아 해외로… 고급화

국내 시장 포화 커피 전문점 살길 찾아 해외로… 고급화

김진아 기자
김진아 기자
입력 2015-09-24 23:52
수정 2015-09-25 10: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 집 건너 한 집꼴로 국내 커피 전문점 시장이 포화 상태에 놓이자 주요 커피 전문점들이 변화를 꾀하고 있다. 해외시장의 문을 두드리거나 국내에서 차별성을 두기 위해 신경 쓰는 상황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탐앤탐스는 최근 마카오에 1호점을 열었다. 탐앤탐스는 마카오 외에도 미국과 태국 등 9개국에 진출해 50여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CJ푸드빌은 지난 22일 인천국제공항에 직영 브랜드 12개를 모두 열고 인천국제공항을 교두보 삼아 해외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12개 브랜드 가운데 커피 전문점은 투썸플레이스다. 투썸플레이스는 해외에서는 말하기 편하게 투썸커피라는 이름으로 진출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17개 매장을 열었다. 커핀그루나루도 최근 중국에 1호점을 열었다.

커피 전문점들이 이처럼 해외 진출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국내 커피 전문점 시장이 포화 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현재 커피 전문점 시장은 2조 5000억원에 달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점포 100개 이상 연매출 500억원 이상인 커피 전문점에 대해 500m 내 신규 출점을 규제했다가 지난해 폐지했다. 대형 커피 전문점 브랜드들이 점포 확장을 머뭇거리는 것을 틈타 중저가 커피를 판매하는 이디야가 공격적인 점포 확장으로 1702개를 열어 가장 많은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규모가 큰 커피 전문점들이 해외 진출을 꾀하고 있는 상황이다. SK증권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커피보다 차 문화가 발달했지만 커피시장이 급격히 성장해 2000년 이후 연평균 5% 성장을 지속하고 있어 국내 커피 전문점들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해외 진출이 반드시 성공적이지는 않다. 해외 진출에 가장 적극적인 카페베네는 지난해 미국 법인과 중국 법인이 모두 순손실을 기록했다. 국내 매출도 상황이 좋지 않자 카페베네는 창립자인 김선권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한발 물러나고 최승우 전 웅진식품 대표이사를 신임 사장으로 영입했다.

밖으로는 매장 확대에 나서는 한편 국내에서는 특화 매장을 꾸미며 고급화 전략을 꾀하는 커피 전문점들도 있다. 탐앤탐스 본사 직영점인 청계광장점은 최근 리모델링 후 일반 메뉴보다 가격을 높인 메뉴를 파는 ‘블랙 매장’으로 꾸몄다. 지난해 11월 문을 연 엔제리너스 세종로점은 스페셜티 매장으로 운영하며 매장 관리자 전원을 커피 감별사인 ‘큐그레이더’로 배치했다.

업계 관계자는 “커피 브랜드가 너무 많기 때문에 단순히 매장 확대로 매출을 올릴 수 없는 상황이라 충성 고객을 잡기 위한 특화 매장에 신경 쓰고 있다”고 말했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9-25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