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가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는 시민들이 수년 전보다 오히려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기업정책연구실장은 20일 낸 ‘안전의식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사회 인프라가 고령화되고 있는 가운데 안전의식은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가 지난 8월 전화설문으로 안전인식을 조사한 결과 ‘우리 사회의 안전인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0.9%가 ‘매우 부족하다’고 답했고, 44.1%가 ‘다소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를 지수화한 결과 한국사회의 안전의식은 100점 만점에 17.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비슷한 조사에서 안전의식지수가 30.3점인 것과 비교해 크게 후퇴한 것이다.
생활안전의식의 구체적인 실태를 보면 승용차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7.5%를 차지했고, 비상구가 없거나 부실한 노래방을 그냥 이용한다고 답한 비율도 81.9%나 됐다.
심폐소생술 관련 실습교육을 한 번도 받아본 적 없다는 응답이 45%, 소화기 사용 실습교육을 받아본 적 없다는 경우도 31.1%에 달했다.
김 실장은 “20대와 학생, 전업주부 등이 안전의식과 교육ㆍ훈련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안전 수준의 향상을 위한 투자는 우선적으로 생활기반시설에 집중돼야 하고 그중에서도 학교에서의 안전수준 향상을 위한 투자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현대경제연구원 김동열 기업정책연구실장은 20일 낸 ‘안전의식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사회 인프라가 고령화되고 있는 가운데 안전의식은 하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소가 지난 8월 전화설문으로 안전인식을 조사한 결과 ‘우리 사회의 안전인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50.9%가 ‘매우 부족하다’고 답했고, 44.1%가 ‘다소 부족하다’고 답했다.
이를 지수화한 결과 한국사회의 안전의식은 100점 만점에 17.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비슷한 조사에서 안전의식지수가 30.3점인 것과 비교해 크게 후퇴한 것이다.
생활안전의식의 구체적인 실태를 보면 승용차 뒷좌석에서 안전벨트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67.5%를 차지했고, 비상구가 없거나 부실한 노래방을 그냥 이용한다고 답한 비율도 81.9%나 됐다.
심폐소생술 관련 실습교육을 한 번도 받아본 적 없다는 응답이 45%, 소화기 사용 실습교육을 받아본 적 없다는 경우도 31.1%에 달했다.
김 실장은 “20대와 학생, 전업주부 등이 안전의식과 교육ㆍ훈련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안전 수준의 향상을 위한 투자는 우선적으로 생활기반시설에 집중돼야 하고 그중에서도 학교에서의 안전수준 향상을 위한 투자가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