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25/SSI_20110425015440.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25/SSI_20110425015440.jpg)
24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의 가격정보 사이트(www.kamis.co.kr)에 따르면 지난 22일 현재 채소류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배추·풋고추 등 일부 품목은 평년 가격에도 못 미칠 만큼 폭락하고 있다.
소매가격 기준으로 월동 배추 상품과 중품 1포기는 각각 3071원, 2360원으로 1개월 전보다 36.2%, 40.6% 하락했다. 5년 평균 가격보다 각각 10.8%, 14.6% 밑돌았다. 조선애호박 상품 가격은 한달 전보다 30.4%, 풋고추 상품 100g은 39.7%, 시금치 상품은 14.3%씩 하락했다. 농림수산식품부 관계자는 “소비가 줄어든 상태에서 봄 채소가 대거 출하되자 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며 “채소류 가격은 하향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축산물 중에서는 쇠고기 값의 안정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돼지고기와 닭고기는 불안한 상태다.
반면 농산물보다 가중치가 더 높은 품목은 가격 상승세다. 지난 3월 가공식품의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은 두부 18.1%, 햄 11.1%, 사탕 11.4%, 고추장 22.5% 등으로 두 자릿수 상승을 보이고 있다. 제당업계가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설탕값을 9~10% 올렸고, 제분업계도 이달 들어 동아원과 CJ제일제당을 시작으로 8% 중후반대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어 가공식품의 추가 상승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공공요금도 사실상 인상이 예정돼 있다. 정부는 중앙 공공요금을 상반기까지 동결하되 하반기부터는 단계적으로 원가 상승 부담을 가격에 반영한다는 방침이어서 물가 여건이 녹록지 않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4-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