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百 ‘5060 시니어패션’ 공략 주목

롯데百 ‘5060 시니어패션’ 공략 주목

입력 2011-03-25 00:00
수정 2011-03-25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롭게 부상한 신노년층에 대한 연구를 유통업체처럼 열심히 하는 곳은 없다.

특히 지난해 자사의 3대 큰손 고객 가운데 하나로 5060세대가 등극했음을 확인한 롯데백화점의 움직임은 주목할 만하다.

롯데백화점은 업계 처음으로 직접 디자이너를 발굴해 대표적인 시니어 패션 브랜드의 ‘주름살 제거’를 시도한다. ‘도이 파리스’라는 자신의 브랜드로 국내외에서 왕성하게 활동하는 신진 디자이너 이도이씨와 매출 1등 브랜드 ‘리본’ 간의 컬래버레이션(협업)을 주선한 것.

24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백화점에 입점해 있는 시니어 패션 브랜드들이 연간 올리는 매출은 700억원대. 시니어 패션 시장은 백화점이 주요 상권으로, 신세계·현대·갤러리아 등을 다 합친 시장 규모의 70% 이상이 롯데백화점에서 나오니 그 움직임이 예사롭게 보이지 않는다.

이도이씨와 리본과의 협업라인인 ‘리본 바이 이도이’는 올 6월 여름을 겨냥해 롯데 단독으로 첫선을 보인다. 알록달록한 색깔에 어지러운 문양이 들어간 전형적인 할머니 옷을 탈피한, 젊고 세련된 감각의 의류들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엘레강스·시니어의 김현우 CMD(선임 상품 기획자)는 “일하는 딸과 며느리를 대신해 손자들의 손을 잡고 백화점을 찾는 55세 이상 여성 고객들은 할머니와 엄마의 중간 성격을 지닌 ‘할마더’(할머니+마더)들”이라며 “백화점에서 마주치는 젊은 여성들 못지않게 자신을 젊고 아름답게 가꾸려는 성향이 강하다.”고 말했다.

김 CMD는 “앞으로 리베도, 벨라시앙 등 인기 시니어 브랜드와 실력파 디자이너의 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이 브랜드들을 젊게 변신시킬 것”이라고 덧붙였다.

롯데백화점 본점 기준으로 시니어 매장의 평당 매출은 500만원으로 30대 이상 여성 정장군에서 효율이 가장 높다. 5060세대의 변화된 취향에 적극 부응해야 할 필요가 수치로 입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롯데백화점 본점 8층에 새달 19일 처음으로 노인 전용 편집매장도 들어선다. 전용면적 85㎡ 규모의 공간에 의류를 제외한 워킹화, 모자, 가발, 노인 전용 화장품, 맞춤형 지팡이, 소형 가전 등 “젊고 건강하고 밝은 노후 생활을 즐길 수 있는 용품을 한자리에 모은 것은 국내에서 처음”이라고 백화점 관계자는 설명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03-2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