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간으로 21일 황사로 뒤덮인 중국 수도 베이징 하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317_O2.jpg)
![현지시간으로 21일 황사로 뒤덮인 중국 수도 베이징 하늘](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317.jpg)
현지시간으로 21일 황사로 뒤덮인 중국 수도 베이징 하늘
중국청년망 등 현지 언론의 21일 보도에 따르면, 이날 베이징 일대에는 황사 청색 경보가 발령됐다. 오후 4시 기준, 미세먼지 농도는 1㎥당 200㎍(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에 육박해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의 4배에 달했다.
베이징 전역의 하늘은 대낮에도 누런색을 띠는 먼지로 가득 차 있었고, 도심을 오가는 차량에도 눈에 띌 정도의 모래 먼지가 내려앉았다.
베이징 징산공원의 한 직원은 “황사가 오면 먼지(모래)가 너무 쌓여서 일하기가 힘들다”고 토로했다.
베이징기상관측소는 이날 “모래가 섞인 강풍이 불면서 베이징 일부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한때 1㎥당 500㎍(WHO 기준치 10배)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는 올해 초 이후 베이징에서 관측된 가장 강력한 모랫바람일 것”이라고 전했다.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422_O2.jpg)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422.jpg)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
지난 20일 초속 32m에 달하는 모래폭풍이 네이멍구자치구 전체를 뒤덮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앞도 제대로 보지 못할 정도의 거센 황사 바람이 불었다. 현지 기상청은 지역 주민들에게 외출을 자제하고 먼지로 인한 피해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550_O2.jpg)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4/24/SSI_20220424150550.jpg)
현지시간으로 20일 중국 네이멍구자치구의 국경 검문소가 황사로 인한 붉은 하늘로 뒤덮였다.
지난 11일 허베이성(省) 장자커우에서는 황사로 인해 미세먼지 농도가 시간당 평균 800㎍을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중국의 황사는 하루 정도 이후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쳐왔다. 따라서 이르면 이번 주말쯤 우리나라도 황사의 영향권 안에 들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은 미세먼지 농도가 800㎍/㎥이상인 상태가 2시간 이상 지속하면 황사경보를 발효한다. 지난해 3월 말에는 중국 네이멍구와 몽골에서 발원한 황사가 북서풍을 타고 한반도에 진입하면서, 6년 만에 서울 및 수도권 전역에 황사 경보가 발령된 바 있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