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 전형 간소화·수능 개편안] 수능 도입 20년… 새 내용·변천사 살펴보니

[대입 전형 간소화·수능 개편안] 수능 도입 20년… 새 내용·변천사 살펴보니

입력 2013-08-28 00:00
업데이트 2013-08-28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사, 19년만에 필수과목으로 전년도와 동일하게 시행 단 4차례

2017학년도에 한국사가 19년 만에 대학수학능력시험 필수과목으로 부활한다. 통합형 수능 체제에서 수능에 필수 반영됐던 한국사는 1999년 수능 탐구영역에서 선택과목제가 도입되면서 사회과목 중 하나인 선택과목이 됐다. 한국사가 대입 독립·필수과목이 되는 것은 24년 만이다. 수능이 생기기 전인 1993학년도까지 다른 사회 과목과 마찬가지로 한국사는 필수과목이었다. 2017학년도에는 다른 사회과목이 공통사회 또는 사회탐구로 묶이는 가운데 한국사만 단독으로 필수가 된다.
최근 한 달 동안 한국사 교육 강화 방안을 찾기 위해 당정협의회가 2차례 열리는 등 논의가 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사가 수능 필수가 되기까지 진통을 겪은 것은 국어·수학·영어도 필수가 아닌 선택형 수능 체제에서 한국사만 필수로 예외를 두는 게 합리적인지 논란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역으로 한국사 수능 필수로 인해 선택형 수능 체제는 다소 흔들리게 됐다. 한국사 수능 필수로 인해 사교육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우려와 함께 지나치게 자주 바뀌는 수능 및 대입 제도에 대한 지적이 일고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1994년 도입돼 올해 20주년을 맞은 수능이 전년도와 동일하게 치러진 해는 단 4차례에 불과했다. 나머지 16년 동안은 시험시기, 배점, 응시과목, 성적산출방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조금씩이라도 변화를 겪었다. 1994년 첫 수능은 연간 두 차례 계열 공통으로 시행됐지만, 두 시험 간 난이도 조절에 실패했다는 비난과 함께 이듬해부터 연간 한 차례 시행으로 바뀌었다. 또 인문, 자연, 예체능 등 계열별로 문제가 달라졌다.

수능과 함께 부활했던 대학별 본고사는 1996학년도까지 유지되다 1997학년도에 폐지됐다. 200점이던 배점은 1997년 수능부터 400점으로 확대됐고, 1999년에는 탐구영역 선택과목제와 함께 표준점수제가 도입됐다. 2001 수능에서는 제2외국어 영역이 추가됐고, 2002 수능 때는 총점 제도가 폐지되고 5개 영역 종합등급이 기재됐다. 선택형 수능으로 개편된 2005년부터 원점수 대신 영역별 표준점수 성적이 학생들에게 제공됐다. 2011 수능부터 영역별로 EBS 방송교재와 70% 연계 정책이 실시됐고, 2014 수능은 난이도에 따라 국어·수학·영어를 A·B형으로 분리한 수준별 수능이 치러진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대입제도와 수능이 워낙 자주 바뀌다 보니 교육 정책 변화를 따라가기 위해 사교육 의존도만 커졌다”고 평가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08-28 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