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삼성 합병’ 뇌물수사 속도…문형표 前장관 참고인 조사

檢 ‘삼성 합병’ 뇌물수사 속도…문형표 前장관 참고인 조사

입력 2016-11-24 09:10
업데이트 2016-11-24 11: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는 합병 과정에 개입할 수 없어…靑지시·삼성 교감 없었다”홍완선 前본부장도 16시간 고강도 조사

국민연금의 ‘삼성 합병 찬성’ 의혹과 관련해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24일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았다.

이미지 확대
질문에 답하는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
질문에 답하는 문형표 전 복지부 장관 국민연금의 ’삼성 합병 찬성’ 의혹과 관련 문형표 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조사를 받기 위해 24일 오전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으로 들어서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 특별수사본부는 24일 오전 10시부터 문 전 장관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문 전 장관은 2014년 7월 국민연금공단이 비정상적 절차를 거쳐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에 찬성표를 던질 당시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찬성 의결 과정에 깊이 관여한 인물로 꼽힌다.

검찰은 문 전 장관을 상대로 찬성 의결이 이뤄진 경위와 이 과정에서 청와대 등으로부터 외압이 있었는지, 삼성 측과 사전에 모종의 교감이 있지 않았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따져 물었다.

조사 시작 직전인 오전 9시50분께 서울중앙지검 청사에 도착한 문 전 장관은 취재진을 만나 “조금 당혹스럽다. 저는 합병 과정에 개입할 수가 없다”면서 “그건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에서 하는 것이고, 제가 의견을 드리거나 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이어 “(합병 찬성 과정은) 사후적으로 보고를 받았는데, 절차상 하자가 없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의 지시나 삼성 측과의 교감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도 “전혀 없다”며 “의결권에 대해서는 보건복지부나 이사장이 역할을 하는 게 없다”고 강조했다.

검찰은 아울러 전날 낮 12시 30분 홍완선 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장을 역시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이날 새벽 4시까지 16시간가량 강도 높게 조사했다.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를 위한 지배구조 개편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외국계 해지펀드인 엘리엇매니지먼트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으면서 10%의 지분으로 사실상 ‘캐스팅보트’를 쥔 국민연금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었다.

문제는 국민연금이 삼성 지지 결론을 낼 때 정상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이다.

외부 전문가들로 꾸려진 ‘의결권 행사 전문위원회’의 검토·의결 절차가 필요함에도 이를 건너뛰고 같은 해 7월 10일 홍 전 본부장이 주도하는 기금운용본부 투자위원회가 독자적으로 찬성표를 던져 합병안 승인을 끌어냈다. 이 과정에서 국내외 의결권 자문사들의 합병 반대 권고는 무시됐다.

합병 찬성 결정에 ‘윗선’의 외압이 있었다는 정황도 불거졌다.

최 광 당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은 연합뉴스 인터뷰에서 “당시 합병 찬성 의견을 주도한 홍완선 기금운용본부장을 경질하려 했으나 정부 고위 관계자의 압력이 들어왔다”고 폭로했다.

문 전 장관이 ‘청와대 뜻’을 거론하며 합병 찬성을 종용했다는 관련자 증언이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문 전 장관은 “제가 아는 후배에게 상황 파악을 위해 문의를 드렸을 뿐 결정 과정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면서 “어떤 의도를 갖고 한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삼성이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0·구속기소)씨측을 후원하는 대가로 청와대측이 삼성 합병에 도움을 준 게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다. 대가 관계가 인정되면 최씨 등에게 적용될 혐의가 달라질 수 있다.

검찰은 전날 이러한 의혹을 확인하고자 국민연금과 삼성그룹 미래전략실 등을 압수수색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