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세 불가… 원·판 동행명령 수용”…野, 김·세 증인채택 두고 강·온파 격론

與 “김·세 불가… 원·판 동행명령 수용”…野, 김·세 증인채택 두고 강·온파 격론

입력 2013-08-06 00:00
업데이트 2013-08-06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 정상화 협상 결론 못내

여야는 5일 하루 종일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 국정조사 정상화를 위한 협상을 벌였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여야 협상안 및 민주당 의원총회의 수정안을 논의할 6일 오전 민주당 최고위원회의가 국조 정상화 여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여야가 국조 기간을 연장하기로 합의하면서 협상을 위한 시간 벌기에는 성공했다.

이날 막판 협상의 핵심 쟁점은 이른바 ‘원·판·김·세’(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 가운데 ‘김·세’를 청문회 증인으로 세울지 여부였다. 새누리당은 “김·세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사전 유출과 관련된 인물이기 때문에 이번 국정조사의 범위를 넘어선다”며 완강히 반대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의 ‘국정조사 기한 10일 연장’ 요구는 받아줄 수 있다”며 ‘회기연장 수용’ 카드를 내밀었다. 민주당이 ‘김·세’의 증인 채택 요구를 철회하면 회기 연장을 받아들이겠다는 것이다. ‘원·판’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 국정원 전·현직 직원의 청문회 증언 등의 요구는 수용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긴급 의원총회를 열어 이런 새누리당의 제안에 대한 당내 의견을 수렴했지만 김·세의 증인 출석 문제를 놓고 격론이 오갔다. ‘온건파’는 “지도부에 일임하자”는 의견을 냈지만 ‘강경파’ 의원들이 이에 반대하며 대립했다. “김·세가 증인으로 나오지 않으면 국정조사를 진행할 필요가 없다”, “김·세가 새누리당 대선캠프에서 각각 총괄선대본부장과 상황실장으로서 국정원과 내통했고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 수사에 개입했기 때문에 국정조사에 반드시 출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잇따라 터져 나왔다.

이날 오후 6시 30분부터 4시간여에 걸친 마라톤 의원총회에서 “김·세의 증인 출석을 지도부가 새누리당에 강력하게 요구하라”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진 가운데 6일 최고위 결정을 지켜보기로 했다. 민주당이 6일 일부 강경파 인사들이 포진해 있는 최고위에서 어떤 결정을 내리느냐에 따라 국조 표류 여부가 최종 결정될 수도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3-08-06 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