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ㆍ安 부인 ‘내조 스타일’도 대조

文ㆍ安 부인 ‘내조 스타일’도 대조

입력 2012-09-19 00:00
업데이트 2012-09-19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정숙 씨, 책 출간ㆍTV 출연…‘대중과 직접 소통’ 김미경 교수, 연구활동 주력…‘조용한 내조’될듯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야권의 양대 대선주자가 되면서 배우자들의 ‘내조 스타일’에도 시선이 모아진다.

문재인 후보의 배우자 김정숙(58) 씨는 대중 앞에 적극적으로 나서며 내조 행보를 일찌감치 시작했다.

지난 1월 SBS 힐링캠프의 문 후보 출연편에 나와 대중에게 존재를 알렸던 김씨는 문 후보의 출마 선언 이후 케이블TV 시사프로그램이나 토크쇼에 잇달아 출연하며 문 후보의 소탈한 가장으로서의 면모를 소개했다.

그는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을 패러디한 ‘문재인 스타일’ 동영상에서 춤추는 모습을 선보이는가 하면, 전국 순회경선이나 주요 행사에 참석해 유권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인사하며 지지를 부탁했다.

문 후보가 당 후보로 선출된 지난 16일에는 행사장 앞에서 지지자들과 함께 캠핑송 ‘문을 열어요’에 맞춰 춤을 추는 등 활발하고 소탈한 모습으로 유권자들에게 다가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유쾌한 정숙씨’라는 별명도 얻었다.

김 씨는 경선 기간에 인터뷰모음집 ‘정숙씨, 세상과 바람나다’를 펴내고 북콘서트도 수차례 열었다.

그는 책 서문에서 “이 책은 남편을 도우려고 시작했다”면서 “하지만 나는 남편 뒤에서 꽃만 들고 서 있고 싶지는 않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남편을 도울 생각”이라며 대선주자 부인으로서의 각오를 밝혔다.

문 후보 부부는 캠퍼스 커플로, 김 씨가 경희대 성악과 1학년 때 학내 법대 축제에 갔다가 친구 오빠의 주선으로 같은 학교 2년 선배인 문 후보를 만나 7년간 연애끝에 결혼한 것으로 알려졌다. 슬하에 아들 준용 씨와 딸 다혜 씨가 있다.

캠프의 한 관계자는 19일 김씨에 대해 “꾸밈없는 분인데다 주변 분위기를 유쾌하고 편하게 만들어서 어디를 가든지 다들 좋아한다”고 말했다.

안 원장의 배우자인 김미경(49) 서울대 의대 교수는 안 원장의 대선 행보가 본격화돼도 당분간 평소와 같이 강의와 연구 활동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이번 학기에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상대로 5개의 강의를 맡고 있다.

김 교수는 서울대 의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워싱턴주립대 로스쿨을 마치고 서울대에서 의ㆍ법학 접목 분야 교수로 임용됐다. 지난해에는 만 65세까지 정년을 보장받았다.

주변인들에 따르면 김 교수는 조용하고 차분한 성격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에 있어서도 진지하고 성실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한다.

안 원장이 지난 7월 SBS 힐링캠프에서 김 교수에 대해 “저랑 같은 곳을 보고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들 부부는 돈을 더 벌고 안정적인 일을 찾기보다는 좋아하고 의미있는 일을 찾기 위해 살아왔다는 측면에서 삶의 궤적이 비슷하다.

이들 부부는 서울대 의대 재학 시절 처음 만나 사랑을 키웠다. 안 원장이 본과 4학년 때 도서관 앞에서 만난 김 교수와 3시간가량 이야기를 나눈 것을 계기로 함께 학업과 봉사활동을 하며 교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녀로는 딸 설희 씨가 있다.

애초 김 교수를 포함해 가족들은 안 교수가 정치권에 진출하기보다는 CEO나 학자로서 살아가기를 원해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안 원장은 힐링캠프에서 지난해 서울시장 출마를 고려했던 것과 관련해 “제 아내와 주위 모든 분들이 하지 말라고 했다”면서도 “주위사람을 정말 생각하자면 자기가 행복해질 선택을 해야 하며, 결국 최종 결단은 본인의 몫”이라고 말했다.

안 원장이 대선 출마를 최종 결심함에 따라 김 교수는 남편의 새로운 도전을 지지하는 가운데 조용한 내조를 펼칠 것으로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