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닥칠지 아무도 몰라… 정확히 알리고 대책 세워야”

“언제 닥칠지 아무도 몰라… 정확히 알리고 대책 세워야”

입력 2012-09-17 00:00
업데이트 2012-09-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카이 신이치 도쿄대 지진硏 교수

사카이 신이치(50) 도쿄대 지진연구소 교수는 “간사이 대지진, 수도권 직하 대지진 등이 하루 뒤에 일어날지, 한 달 뒤에 일어날지 아무도 모른다.”면서 ”분명한 건 가능성이 확실히 높다는 것”이라며 지진 대책이 필요한 점을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이미지 확대
사카이 신이치 도쿄대 지진연구소 교수
사카이 신이치 도쿄대 지진연구소 교수
→도쿄도를 포함해 수도권의 지진 가능성은 어느 정도인가.

-발생 가능성이 ‘제로가 아니다’라고밖에 표현할 길이 없고 정확한 확률을 말하기가 어렵다. 지진에 대한 기록들은 오래 전부터 있지만 측정이 가능하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다만 현재 수도권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진들은 발생 장소의 깊이가 얕아지고 있다. 이는 지진 발생 시 흔들림이나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연구소에서는 수도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지진을 네 가지 형태로 상정하고 피해 규모나 피해액을 계산하고 있다.

→서일본 대지진(남해 해구 대지진)은 어떤가.

-역시 가능성이 있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남해 해구 대지진은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것이다. 대체로 100년 주기를 갖고 발생하는 남해 해구 대지진은 1800년대에 한 번, 1944,1946년에 있었기 때문에 다음은 2040년쯤에 일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즉, 지금 우리 세대가 살아가고 있는 동안에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동일본 대지진 이후 일본 방재당국에서 대지진 예상 발표를 자주해 시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지진이 언제 어디서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지진이 발생했을 때에 대한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어느 지역이 심하게 흔들릴지, 어떤 시설들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는지, 화재가 일어날 것인지, 도로망은 어떻게 될 것인지, 구원물자는 어떻게 공급해야 할 것인지 등에 대해 여러 가지 패턴을 생각해 두자는 취지다.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부추기는 일들을 듣지 않는 게 안심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그래도 알고 있어야 한다는 사람들로 의견이 엇갈린다. 연구자들의 대지진 예측 발표가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사실을 숨기는 것이 더 안 좋다고 생각한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방사능 유출 문제가 국민들 사이에 정보 공유 부족으로 더욱 심각했고 사람들을 불안에 떨게 했다.

도쿄 이종락특파원 jrlee@seoul.co.kr

2012-09-17 1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