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 치닫는 시리아 내전] 10대가 담벼락에 쓴 ‘혁명’이 도화선…반정부시위 시민 등 10만여명 사상

[정점 치닫는 시리아 내전] 10대가 담벼락에 쓴 ‘혁명’이 도화선…반정부시위 시민 등 10만여명 사상

입력 2013-08-30 00:00
업데이트 2013-08-30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리아 내전 시작과 현재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린 시리아 내전 사태가 다음 달 1일로 900일째를 맞는다. 10만여명의 사상자와 이보다 더 많은 난민을 만들어 낸 비극은 어디서부터 비롯됐을까? 사건의 시작은 2011년 3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시리아 남부 도시 데라에서 10대 학생 15명이 담벼락에 ‘혁명, 혁명, 일어서라’라는 말을 썼다. 이웃 나라 튀니지와 이집트에서 일어난 민주화 시위인 ‘재스민 혁명’의 구호를 무심코 따라 쓴 것이었다. 하지만 학생들은 다음 날 시리아 경찰에 체포됐고 구치소에서 모진 고문을 받았다.

화가 난 데라 시민들은 경찰서로 몰려가 학생들을 석방하라고 요구했다. 급기야 시민들의 요구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보장하라”는 시위 구호로 바뀌었고, 불과 며칠 만에 대규모 시가행진으로 이어졌다. 당황한 정부군은 시위대를 향해 총을 발사했고 그 자리에서 시민 4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다음 날 희생자를 위해 열린 장례식 행렬에서 정부군은 또다시 총구를 들이댔고, 정부의 과잉 대응을 비난하는 시민들의 목소리도 덩달아 커졌다.

아버지에 이어 시리아를 집권해 온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시리아에서 민주화 시위가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긴급 결단을 내렸다. 친동생 마허가 맡고 있는 시리아 제4기갑사단을 시위 진압 부대로 임명해 강경 진압을 지시한 것이다. 군부대의 탱크는 길 위의 시민들을 향해 포탄을 발사했고 일부 군인들이 민가를 습격하면서 수십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이 같은 소식은 홈스, 하마를 넘어 수도 다마스쿠스로까지 번지면서 알아사드 정권을 타도하자는 전국적인 반정부 운동으로 확산됐다. 독재 정권에 맞선 시민들의 저항이 지금의 시리아 내전으로 이어진 것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시리아 내 세속주의와 이슬람주의 간 갈등을 내전의 원인으로 꼽는다. 세속적인 사회주의를 추구하는 알아사드 정권이 이슬람 율법을 강조하는 무슬림형제단을 몰아내기 위해 내전을 일으켰다는 주장이 대표적이다. 시리아 내전이 2년 넘게 계속되는 이유를 뿌리 깊은 종파 간 갈등의 역사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이슬람교는 예언자 무함마드의 후계자 선정 문제를 두고 시아파와 수니파가 1000년 넘게 싸우고 있기 때문이다.

최재헌 기자 goseoul@seoul.co.kr

2013-08-30 16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