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전쟁] 日의 의도된 ‘엔低 작전’… 1995년 적자 악몽 재연되나

[환율전쟁] 日의 의도된 ‘엔低 작전’… 1995년 적자 악몽 재연되나

입력 2012-10-31 00:00
업데이트 2012-10-31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달갑지 않은 원高-엔低 현상

원·달러 환율은 계속 떨어지고 있지만 엔·달러 환율은 오르고 있다. 세계 시장에서 일본 제품과 경쟁하는 우리로서는 결코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외환 위기 전인 1995년에 나타났던 현상이라 더욱 우려가 크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말보다 달러당 19.9원이나 떨어졌다. 원화 가치가 1.8% 오른 것이다. 반면 엔·달러 환율은 같은 기간 달러당 2엔 올랐다. 엔화 가치는 2.6% 떨어진 것이다.

이미지 확대


원화값은 오르고 엔화값은 떨어지면서 100엔당 원화는 1373.65원(외환은행 오후 3시 고시 매매 기준)이다. 지난달 말에 비해 61.16원이나 떨어졌다.

문제는 엔화값이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이다. 이날 일본은행(BOJ)은 국채 등을 사들이는 자산매입기금을 80조엔에서 91조엔으로 11조엔(약 151조원) 더 늘린다고 밝혔다. 지난달 자산매입기금을 10조엔 늘린 데 이어 두 달 연속 기금을 확충한 것이다. 엔고(高)를 저지해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경기 회복세 둔화를 막기 위해 돈을 더 풀기로 한 것이다. 이 같은 조치로 국제투자은행(IB)인 모건스탠리는 엔·달러 환율이 달러당 84엔, 노무라는 82엔까지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도쿄시장에서의 이날 엔·달러 환율은 79.46엔이었다.

원화값은 오르는데 엔화값은 떨어지는 현상은 1995년에도 있었다. 달러당 800원 선이었던 당시 원·달러 환율은 1994년 9월 들어 700원대로 내려앉더니 1996년 6월까지 거의 20개월 동안 그 수준을 유지했다. 199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국제 시각이 긍정적이었던 데다 금융기관의 단기 외화 차입을 허용했던 조치가 원인으로 분석된다. 외환 당국 관계자는 “환율 변동에 대한 분석이 소홀했던 측면이 있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그 여파는 경상수지로 나타났다. 환율은 경상수지에 6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6년 경상수지는 229억 5310만 달러 적자였다. 사상 최대 적자다. 이듬해인 1997년에도 81억 826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거꾸로 간 경우도 있었다. 2008년 이명박 정부는 고환율 정책을 구사해 달러당 900원대였던 환율을 그해 5월 1000원대로 끌어올렸다. 글로벌 금융 위기 여파로 2009년 봄에는 1500원대까지 솟구쳤다. 반면 당시 달러당 100엔을 넘었던 엔화는 2008년 10월 90엔대로 내려가더니 2009년 내내 90엔대에 머물렀다.

신세돈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수출이 중요한 우리나라로서는 기막힌 호재였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2009년 경상수지는 327억 9050만 달러 흑자였다. 1998년 426억 4200만 달러 흑자 이후 최대치다. 신 교수는 “우리나라 경제에서 수출을 등한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최근의 엔화 약세, 원화 강세는 우려할 만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10-31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