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비이락?’ 박근혜 발언 후 우리금융 매각 난항

‘오비이락?’ 박근혜 발언 후 우리금융 매각 난항

입력 2012-07-26 00:00
업데이트 2012-07-26 1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석동 “정부 밖 반대하는 분들 너무 많다” 우회 비판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26일 정치권을 겨냥해 포문을 열었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이 3차례 시도에도 정치권의 반대로 무산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정부 밖에서 (우리금융 민영화에) 반대하는 분들이 너무 많다 보니 참 어려운 상황으로 몰고 간 측면이 있지 않나”고 말했다.

우리금융의 ‘빠른 민영화’를 강조하면서 정작 빠른 방법은 쓰지 못한다는 의원들의 지적에 항변 차원에서 나온 발언으로 풀이된다.

예금보험공사가 가진 우리금융 지분을 매각하는 것은 전적으로 시장참여자의 선택 문제인데 외부 입김이 지나치게 작용한 탓에 제대로 선택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는 점을 우회 비판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을 염두에 두고 이런 불만을 토로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금융권에서 나온다.

여권의 유력 대선주자인 박 전 위원장이 지난 16일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초청 토론회에서 우리금융 민영화는 차기 정부로 넘겨야 한다고 언급하고서 시장 심리가 급랭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로 그 당시까지만 해도 우리금융 인수가 유력시된 KB금융지주가 25일 이사 간담회를 열어 우리금융 인수전에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KB금융이 빠져도 국내외 사모투자펀드(PEF)가 입찰에 나설 수 있으나 박 전 위원장을 비롯한 정치권 반대 때문에 입찰 참여를 주저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동양증권 성병수 연구원은 “‘큰 힘을 가진 분’(박 전 위원장)이 한마디 한 뒤로 우리금융 민영화는 물 건너갔다는 견해가 많아졌다”며 “PEF나 재무적투자자(FI)도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변 만류에도 지난 4월 매각공고를 시작으로 연내 민영화를 추진해 온 김 위원장은 ‘다 된 밥에 재를 뿌린’ 상황을 맞아 의원들의 질타가 쏟아지자 화살을 정치권으로 돌렸을 것이라는 분석이 금융권에서 힘을 얻는다.

정치권 반대로 우리금융 민영화가 무산된 건 지난해 2차 매각 시도 당시에도 마찬가지였다.

그때는 KDB금융지주가 인수 후보로 거론됐지만,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으로 꼽히는 강만수 KDB금융 회장에게 특혜를 주는 게 아니냐는 야당 의원들의 거센 반발에 정부가 KDB금융을 인수 후보에서 제외했다.

다른 금융지주사가 우리금융을 인수할 수 있도록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한 것도 정치권의 동의를 얻는 데 실패했고, 결국 2차 매각은 유효경쟁(복수입찰)이 성립되지 못해 무산됐다.

김 위원장은 오는 27일 우리금융 예비입찰제안서를 마감하고서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또 무산되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의원들의 질문에는 “시장과 우리금융 자체 상황이 계속 변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판단하겠다”며 원론적인 답변만 내놨다.

그는 “우리금융에는 국민 세금(공적자금) 12조8천억원이 들어갔다. 민영화가 지연될수록 경쟁력이 훼손되고 국민의 부담이 커진다”며 우리금융 민영화가 시급하다는 이유를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