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전사 기살리기… TV 끄고 거리응원 어때요

태극전사 기살리기… TV 끄고 거리응원 어때요

입력 2010-06-12 00:00
수정 2010-06-12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월드컵이다. 다시 한번 거리로 나선다. 두 팔을 앞으로 하고 박수를 치며 “대~한민국”을 목청껏 외쳐 저멀리 아프리카 대륙을 누빌 태극 전사들에게 기를 불어넣어야 하는 순간이다.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하며 한국의 역동성을 상징하는 문화가 된 거리 응원은 어떻게 즐길 수 있을까. 기업들의 월드컵 마케팅전도 거리 응원만큼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이미지 확대


한국은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 조별리그 B조에서 최강국이다. 물론 축구 실력이 기준은 아니다. 국제축구연맹(FIFA) 랭킹으로 따지면 한국(47위)은 아르헨티나(7위), 그리스(13위), 나이지리아(21위)에 이어 최하위다. 그러나 세계 에너지기구 기준의 국가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는 4억 8870만 이산화탄소톤(tCO₂·9위)으로 아르헨티나(1억 6260만tCO₂·29위), 그리스(9780만tCO₂·36위), 나이지리아(5140만tCO₂·53위)에 크게 앞선다.

한국은 1인당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에서도 23위로 그리스(32위)의 거센 추격을 받았지만 B조 4개국 가운데 여전히 1위를 유지했으며 32개국 가운데에서는 미국, 호주, 네덜란드의 뒤를 이었다. 에너지시민연대는 11일 부피가 4.85ℓ인 축구공으로 환산하면 한국은 1인당 축구공 105만 2840개 부피의 온실가스를 배출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가 지구의 온난화, 기후 변화를 크게 거들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이번 월드컵 거리 응원전을 환경에 보탬이 되는 방향으로 펼쳐보는 것은 어떨까. TV 시청을 매일 한 시간만 줄여도, 종이컵 사용량을 하루 5개만 줄여도 각각 한 달에 축구공 205개, 177개 부피의 이산화탄소를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사용하지 않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만 뽑고 거리 응원에 참여하는 것만으로도 상당한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다고 강조하는 에너지시민연대는 다음과 같은 친환경 월드컵 응원 지침을 제시했다.

▲거리 응원은 되도록 걸어갈 수 있는 가까운 곳에서 한다. 멀리 가야 한다면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종이 꽃가루, 막대풍선, 두루마리 화장지 등 일회용 응원도구는 사용하지 않는다. ▲개인 물통을 지참해 원료가 석유인 페트병 사용을 줄이고, 물을 낭비하지 않는다. ▲쓰레기 발생을 줄이고 발생한 쓰레기는 분리 수거한다. ▲손수건을 지참하고, 응원하며 흘린 땀 등은 일회용 종이휴지 대신 손수건으로 닦는다. ▲음식물은 남기지 않고 맛있게 다 먹는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0-06-1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