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중인 마리케 베르보트](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9/12/SSI_20160912161124_O2.jpg)
![경기중인 마리케 베르보트](https://img.seoul.co.kr//img/upload/2016/09/12/SSI_20160912161124.jpg)
경기중인 마리케 베르보트
벨기에의 마리케 베르보트 선수가 10일(현지시간) 여자 400m 휠체어 스프린터 결승을 위해 몸을 풀고 있다. AP연합
아사히(朝日)신문에 따르면 베르보트 선수는 11일(현지시간) 리우 현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이 밝혔다.
지난 7일 프랑스 일간 파리지앵과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 등 유럽 언론은 베르보트 선수가 올림픽이 끝나면 안락사를 고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내용은 전 세계에 퍼지며 많은 사람들의 눈물을 자아냈다.
하지만 베르보트 선수는 지난 2008년 의사 3명의 판단을 받아 합법적으로 안락사할 수 있는 서류를 준비해 놓았다고 밝히고 안락사라는 선택도 있다는 걸 알리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금방이라도 죽으려는 것처럼 보도되는 데는 거부감을 느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패럴림픽이 끝난 후에는 남은 인생을 가족, 친구들과 즐기되 고통을 참을 수 없게 되면 안락사를 선택하겠다고 말했다.
아사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전하는 선수들의 모습을 전하는 것은 스포츠 보도의 중요한 요소지만 장애인 스포츠를 다룰 때 언론은 독자에게 전하기 쉽고 기사로 작성하기 쉬운 장애 부분만을 거론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신문은 이어 과장되게 충격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패럴림픽에 출전한 선수들의 심각한 상황은 충분히 전달할 수 있으며 베르보트 선수 관련 보도는 이런 사실을 냉정하게 생각게 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베르보트 선수는 10일 열린 휠체어 400m 스프린트에서 은메달을 땄다. 17일에는 100m에 출전한다. 그는 “메달리스트로서 삶을 즐기겠다. 2020년 도쿄 올림픽 때는 관중으로 일본에 가고 싶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