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 ‘벌매’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 제공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는 소청도에서 지난 9~10월 가을철 맹금류 이동조사를 실시한 결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인 ‘벌매’ 8497마리의 이동이 관측됐다고 9일 밝혔다.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인 맹금류는 매과, 수리과, 올빼미과 등으로 나뉠 수 있는데 국내에는 50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이 중 21종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있다. 수리과 맹금류인 벌매는 한반도 전역의 숲 가장자리나 초지에서 볼 수 있으며 여름철새나 가을철새처럼 특정 기간에 머물러 서식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를 통과해 지나가는 대표적인 통과철새이다.
철새연구센터에 따르면 2009년 맹금류 이동조사를 실시한 이후 벌매 이동이 가장 많았던 때는 관측을 시작한 2009년 4372마리였다. 이번 조사에서는 당시보다 거의 2배에 가깝고 지난해 관찰된 915마리와 비교했을 때는 약 9배가 늘어난 것으로 매우 이례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소청도 상공을 통과하는 맹금류들의 모습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 제공
최유성 철새연구센터 연구사는 “벌매가 갑자기 늘어난 것은 번식지의 상황이 좋아지고 해당 지역의 기후가 달라졌기 때문으로 볼 수 있으며 올가을 소청도 기상조건도 상승기류를 타고 나는 맹금류 이동에 유리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며 “개체수 확대의 정확한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벌매 주요 서식지인 중국, 몽골, 러시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확보하고 장기 추적 조사가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소청도 맹금류 이동조사 결과 그래프
국립생물자원관 국가철새연구센터 제공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