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은 관리관·이시원 前비서관
작년 ‘尹 격노설’ 전후 26회 전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14일 오전 경북 경산시 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에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22시간이 넘는 조사를 받고 취재진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4.5.1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14/SSC_20240514183145_O2.jpg)
연합뉴스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14일 오전 경북 경산시 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에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22시간이 넘는 조사를 받고 취재진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4.5.14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14/SSC_20240514183145.jpg)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14일 오전 경북 경산시 경북경찰청 형사기동대에서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22시간이 넘는 조사를 받고 취재진 앞에서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4.5.14
연합뉴스
연합뉴스
14일 법조계에 따르면 공수처는 지난해 8월 국방부가 경북경찰청으로부터 해병대 수사단의 수사 결과를 회수하던 당시 유 관리관과 이 전 비서관이 총 26차례 통화한 기록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화 시점은 국방부 조사본부가 회수한 수사 결과에 대해 재검토를 결정한 지난해 8월 9일과 해병대 수사단 수사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이른바 ‘격노설’ 보도가 이뤄진 8월 말 전후에 집중됐다고 한다. 이전까지 두 사람은 단 한 차례의 전화도 주고받지 않았다. 이 전 비서관은 윤 대통령에게 대면 보고를 하는 최측근 참모로 꼽혔던 만큼 대통령실 관여 여부로까지 수사가 이어질지 이목이 집중된다.
또 공수처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지난해 7월 31일 경찰에 수사기록 이첩 보류를 지시한 뒤 언론 브리핑을 취소하는 과정에서 대통령실로부터 전화를 받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수처는 핵심 피의자인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을 곧 재소환할 예정이다. 김 사령관은 이 전 장관으로부터 채 상병 순직 사고 조사 결과의 경찰 이첩을 보류하라는 지시를 받고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압력을 행사한 혐의를 받고 있다.
공수처는 지난 2일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 주도로 ‘채 상병 특검법’이 국회에서 통과된 전후로 핵심 관계자 3명에 대한 소환 조사를 진행하는 등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4-05-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