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철을 맞아 발열성 질환인 쓰쓰가무시증과 렙토스피라, 신증후군출혈열 등을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이들 질환은 등산, 벌초 등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추석을 전후한 9~11월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전국적으로 2012년 8996명(사망 17명), 2013년 1만 942명(사망 30명), 2014년 8532명(사망 16명), 올해 8월 말 현재 520명이 발생했다.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된다. 가을 발열성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증상은 유충에 물린 자국과 함께 두통·발열·근육통 등을 동반하며 일시적인 뇌신경 마비가 올 수 있다.
야외작업을 할 때는 기피제를 뿌리거나 모자·긴소매·긴바지 등을 착용하고, 야외활동 후 반드시 샤워를 하고 옷은 세탁해야 한다.
무안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전국적으로 2012년 8996명(사망 17명), 2013년 1만 942명(사망 30명), 2014년 8532명(사망 16명), 올해 8월 말 현재 520명이 발생했다. 쓰쓰가무시증은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감염된다. 가을 발열성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증상은 유충에 물린 자국과 함께 두통·발열·근육통 등을 동반하며 일시적인 뇌신경 마비가 올 수 있다.
야외작업을 할 때는 기피제를 뿌리거나 모자·긴소매·긴바지 등을 착용하고, 야외활동 후 반드시 샤워를 하고 옷은 세탁해야 한다.
무안 최종필 기자 choijp@seoul.co.kr
2015-09-0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