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읍 무릉리 앞바다에서 새끼 남방큰돌고래 폐사 확인
크기로 봐선 조산일 가능성… 전문가들 원인규명에 나서야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는 모슬포바다서 못떠나고 맴맴
![죽은 새끼를 주둥이에 걸치고 다니는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대정읍 무릉리 앞바다에서 포착됐다.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2745_O2.png.webp)
![죽은 새끼를 주둥이에 걸치고 다니는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대정읍 무릉리 앞바다에서 포착됐다.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2745_O2.png.webp)
죽은 새끼를 주둥이에 걸치고 다니는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대정읍 무릉리 앞바다에서 포착됐다.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2748_O2.png.webp)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2748_O2.png.webp)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
제주바다에서 죽은 새끼를 업고 다니는 어미 남방큰돌고래가 올해 처음으로 포착돼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14일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1시 33분 대정읍 무릉리 앞바다에서 무리떼에서 죽은 새끼 남방큰돌고래를 주둥이 걸치고 다니는 어미가 목격됐다.
오승목 다큐제주 감독은 “죽은 새끼는 작년 12월이나 올 초에 태어났을 것으로 보인다”며 “어미 주둥이에 걸쳐있는 새끼의 크기로 보았을 때 작게 태어나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조산일 가능성이 큰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새끼 남방큰돌고래는 등에 업고 다닐 정도 크지 않아 어미가 주둥이로 계속 새끼를 걸치고 다니는 상황”이라며 “새끼가 부패돼 사라질 때까지 계속 업고 다닐 정도로 돌고래들의 모성애가 강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새끼 돌고래가 아직 부패가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봐선 태어난 지 얼마 안된 것으로 추정했다. 돌고래 임신기간은 12개월이다.
지난해 제주바다에서 멸종 위기 남방큰돌고래 새끼의 경우 9마리가 죽은 것으로 파악됐다. 김녕바다에서 발견 된 것 빼고는 대부분 모슬포 지역에서 새끼가 폐사돼 이 부분에 대한 원인 파악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
올해 첫 새끼 남방큰돌고래 사체 발견은 지난해 2월 28일 첫 발견 때보다 40여 일 빠르다.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4034_O2.jpg.webp)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4/SSC_20250114164034_O2.jpg.webp)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다큐제주와 제주대 고래·해양생물보전연구센터 제공
한편 지난해 구조활동에 나섰던 폐어구에 걸린 새끼 남방큰돌고래는 어미와 함께 모슬포 지역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 뒤로 길게 늘어선 줄에 해조류 부착이 심해져 행동에 제약받는 상태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오 감독은 “남방큰돌고래의 완전한 구조를 위한 행정당국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앞서 폐어구에 걸린 남방큰돌고래 ‘종달이’의 경우 두차례 줄을 일부 절단하는 데 그쳐 어미와 함께 여전히 모슬포 일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