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값 오른 간호학과 교수 ‘품귀현상’

몸값 오른 간호학과 교수 ‘품귀현상’

입력 2013-08-22 00:00
수정 2013-08-22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5년간 학생수는 5000명 급증…3년새 전문대 58곳 4년제 전환, 교수 충원은 따라가지 못해

경북지역 모 전문대학은 이번 학기에만 간호학과 교수 4명을 뽑아야 한다. 기존 교수 3명이 지난 학기에 사직서를 내고 다른 대학으로 가버렸고, 1명은 정년퇴임을 했기 때문이다. 이 대학은 지난 2일 공고를 냈지만 이번 학기에 교수 4명을 모두 뽑을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교무처 관계자는 21일 “간호학과 교수를 공들여 뽑아 놔도 곧 다른 곳으로 가버릴까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간호학과 교수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지난달부터 이달 20일까지 교수채용 공고 사이트인 ‘하이브레인넷’(hibrain.net)에 올라온 모집공고를 분석한 결과, 4년제 대학과 전문대학 교수 초빙 공고 163개 가운데 61개가 간호학과 교수를 뽑는 공고였다.

간호학과 교수들이 부족한 이유는 지난 5년 동안 전국적으로 간호학과 정원이 5000명 남짓 늘었기 때문이다. 간호학과는 졸업생 취업률이 높은 데다가 입시 지원율 역시 대부분 20대1을 넘기 때문에 대학들이 앞다퉈 개설하고 있다. 하지만 교수 충원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 개정 의료법에 따라 대학들이 간호교육인증평가를 서두르면서 교수 부족 현상을 자초하고 있다. 2017년부터는 간호교육인증평가를 받은 대학의 졸업생에 한해 간호사 국가시험 응시자격을 준다. 대학이 인증을 받으려면 학생 20명당 교수 1명을 기준으로 전임교수 비율 60%, 비전임 교수(초빙·겸임) 비율 40%를 갖춰야 한다. 예를 들어 정원이 100명이라면 60%인 60명에 맞춰 적어도 3명의 전임교수를 둬야 한다. 초빙 또는 겸임 교수는 2명이 필요하다. 인증 기준으로 교수 숫자가 전년도 기준과 같거나 높아야 한다는 규정도 맞춰야 하기 때문에 교수가 부족하면 1년 내에 채워야 한다.

특히 2011년부터 전문대학 간호학과가 4년제로 전환돼 교수 선발이 경쟁적으로 이어지면서 교수 품귀현상이 더 심해지고 있다. 2011년 이후 전국 전문대학 86곳 가운데 58곳의 간호학과가 4년제로 전환됐다. 나머지 28곳 역시 4년제로 돌아설 전망이다. 이러다 보니 뽑아 놓은 교수를 다른 대학에서 더 좋은 조건을 내걸고 빼가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지방의 전문대학들이 상대적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경남지역 한 전문대학 관계자는 “간호학과 교수들이 지방 중소도시보다 대도시, 전문대학보다 4년제 대학을 선호한다”며 “지방 전문대학들이 이들을 잡을 방도는 달리 없다”고 호소했다.

박은희 한국간호평가원 평가관리부장은 “교원 부족 현상은 이미 예견됐던 일”이라며 “보건복지부가 최근 5년 동안 간호학과 정원을 폭발적으로 늘려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간호평가원 측은 더 이상 간호학과 정원을 늘려선 안 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보건복지부 의료정책자원과 측은 “2000년 하반기부터 대학병원이 잇따라 증설되면서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추계연구를 통해 매년 간호학과 학생들을 증원하고 있다”며 “교수가 부족한 것은 교육 인프라의 문제일 뿐, 지금도 현장에서는 간호 인력이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08-22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