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서울 일반고 지원책
올해 2학기부터 서울 일반고등학교에 다니는 성적 우수학생을 위해 영어·수학 심화과정을 가르치는 거점학교가 11개 지역교육청별로 한곳씩 지정된다. 또 특정 전공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전공 수업을 다른 고교에서도 배울 수 있게 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1/SSI_20130821013911.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3/08/21/SSI_20130821013911.jpg)
추진 계획에 따르면 우수학생을 위한 영어·수학 심화과정을 개설하는 ‘고교 교육력 제고 거점학교’가 지정돼 학기 중 토요일 오전이나 방학 기간 중 고급 수학이나 영어 심화과목 등을 가르친다.
학습부진 학생에 대한 학습지도를 해주는 ‘기초 튼튼 행복학교’ 51개교도 운영될 예정이다. 위기학생을 위한 ‘위탁형 대안학교’는 지난해 35개교에서 올해 40개교로, 공립 위탁형 대안학교는 내년에 4개교를 추가 설치해 모두 6개교로 늘어난다.
특정 전공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위해 ‘교육과정 거점학교’ 27개교가 만들어진다. 3학년 또는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정규 교과 시간과 방과 후, 토요일, 방학 중 음악, 미술, 과학, 제2외국어 집중과정을 운영한다. 월·수·금엔 소속 학교, 화·목엔 거점학교에 등교하는 식이다. 다만, 여러 고교생들이 수업을 듣기 때문에 석차 대신 교과목명과 원점수, 과목평균, 과목표준편차를 학생부에 기재하게 된다.
직업교육을 원하는 학생들이 점점 늘어나는 점을 고려해 특성화고 내에 부설로 ‘직업교육 거점학교’ 4곳이 신규 지정된다. 이를 위해 현재 학급당 25명인 특성화고 정원이 1명씩 늘어난다.
그러나 거점학교 지정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된다. 우선 학생이 수업을 자율적으로 짜게 되면서 혼선이 예상되며, 학교별 교육과정에 따른 성적 산출 역시 논란이 될 조짐이다. 수억원을 지원받아 거점학교로 지정된 학교와 지원금을 받지 못한 일반고와의 서열화, 그리고 우수학생을 위한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생 간 위화감 조성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2학기부터 방과 후 과정을 마련하려면 교사나 전문강사 수급도 빠듯한 실정이다. 김광화 교육과정정책과장은 “거점학교를 통해 일반고의 자율성을 높이고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들을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는 차원으로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3-08-2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