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코카인 밀반입’ 합동수사본부 설치

‘강릉 코카인 밀반입’ 합동수사본부 설치

김정호 기자
김정호 기자
입력 2025-04-03 16:24
수정 2025-04-03 16: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총 2t 역대 최대…출처·경로 조사

이미지 확대
외국 선박 밀실에서 발견된 마약 의심 물질.  해양경찰청 제공
외국 선박 밀실에서 발견된 마약 의심 물질. 해양경찰청 제공


강원 강릉 옥계항 코카인 밀반입 사건을 맡을 합동수사본부가 꾸려졌다.

동해지방해양경찰청과 서울본부세관은 동해해경청에 합동수사본부를 설치하고 본격적인 수사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앞선 지난 2일 오전 6시 30분쯤 동해해경과 서울본부세관은 강릉 옥계항에 입항해 정박 중인 선박에서 코카인 의심 물질 약 2t을 압수했다. 코카인은 한 자루에 30~40㎏ 정도로 나눠진 형태로 총 56개 밀반입됐다.

합동수사본부는 우선 필리핀 국적 승선원 20명의 모발과 소변을 채취하고, 압수한 코카인 의심 물질 샘플에 대한 정밀 분석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할 예정이다. 또 해당 선박의 선장과 선원 등 20명을 대상으로 마약의 출처, 유통경로 등을 조사한다.

이번에 적발한 마약은 6700만명이 동시에 투약할 수 있는 양으로 중량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시가로는 1조원 상당이다. 종전 최대 기록은 2021년에 적발된 필로폰 404㎏이다.



김길규 합동수사본부장은 “관세청, 국외 수사기관과 공조해 국제 마약 밀매 조직 카르텔과의 연관성으로 수사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2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