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군청. 성주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27/SSI_20200227081213_O2.jpg)
![성주군청. 성주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2/27/SSI_20200227081213.jpg)
성주군청. 성주군 제공
성주군은 26일 “대구에서 출퇴근하는 공무원 308명에 대해 성주에 임시 거주하면서 근무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임시 거주 인원은 군 전체 공무원(636명)의 48%로 절반에 가깝다.
이병환 성주군수는 “성주는 이날 오전까지 코로나19 확진환자가 없는 청정 지역으로, 공무원들이 코로나19 역내 유입 및 확산 방지에 앞장서자는 취지에서 이 같은 조치를 내렸다”고 했다.
임시 거주 공무원들은 독용산성 자연휴양림, 남작골, 솔가람권역 복지센터 등 군내 숙박시설 등을 한시적으로 이용한다.
인근 고령군도 전체 직원 620명 가운데 대구에서 출퇴근하는 240명을 대상으로 지역에 임시 거주시키기로 했다.
이들은 군이 제공하는 미숭산자연휴양림, 대가야생활촌, 대가야역사테마관광지 펜션 등을 이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고령 역시 코로나19 미발생 지역이다.
곽용환 고령군수는 “공무원이 코로나19에 감염될 경우 주민에게 전파자가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 재난인 코로나19 사태를 맞아 공직 수행에 큰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코로나19 조기 종식에 공직자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말했다.
성주·고령은 대구와 차로 30분 정도 거리로, 인적·물적 교류가 활발한 지역이다.
한편 청송군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24일부터 안동 등 타지에서 출퇴근하는 직원 163명에 대해 재택근무토록 했으나 비판 여론(서울신문 2월 26일자 14면)이 거세자 이날 전원 근무 복귀시켰다. 다만 타지 출퇴근 공무원에 대해서는 청송에 임시 거주하도록 했다.
성주·고령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