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문인 시절 이명박 정부의 유인촌 전 문체부 장관 시절 겪었던 지원 배제 경험을 털어놨다. 앞서 유 전 장관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명박 정권 당시 “문화예술계를 겨냥한 블랙리스트는 없었다”고 말했다.
도 장관은 취임 100일을 맞아 26일 서울 종로구 설가온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도 장관은 유 전 장관 때 한국작가회의 사무총장으로 일했는데, 당시 정부로부터 “(회원들이) 불법 집회나 시위에 참여했다가 발각되면 지원금을 모두 반납하겠다”는 서약서를 쓸 것을 종용받았다고 밝혔다.
도 장관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08∼2010년 작가회의 사무총장으로 활동했으며, 유 전 장관은 2008년 2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문체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도 장관은 “당시 이게 말이 되냐는 생각이 들었다. 그 많은 사람(회원들) 중 누가 시위에 참여했는지 알 수 없고, 불법 시위인지도 알 수가 없는데 발견되면 지원금 받은 걸 다 반납하겠다는 각서를 쓰라 하니 양식을 받고선 너무 기가 막혔다”고 털어놨다.
또 “(작가회의) 총회에 이걸 (안건으로) 붙였더니 원로 소설가, 시인들이 지원금을 아예 받지 말자고 했다. 그래서 유인촌 장관 시절부터 3~4년을 국제행사고, 세미나고, 책이고 정부 지원금을 한푼도 안 받고 책도 안 냈다”면서 “그런데 우리는 그런 적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덧붙였다.
최근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원이 ‘문화예술·연예계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당시 정부 비판 성향의 문화계 인사를 비롯해 배우, 방송인, 가수 등 연예인들을 감시하고 사찰까지 한 사실이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 조사 결과 드러났다.
하지만 유 전 장관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문체부 장관으로) 있을 때 문화예술계를 겨냥한 그런 리스트는 없었다”면서 “요새 세상(정권)이 바뀌니까 그러겠구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제하거나 지원을 한다는 게 누구를 콕 집어 족집게처럼 되는 일이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그런 차별을 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취임 100일 맞은 도종환 문체부 장관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 서울 종로구 설가온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도 장관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08∼2010년 작가회의 사무총장으로 활동했으며, 유 전 장관은 2008년 2월부터 2011년 1월까지 문체부 장관으로 재직했다.
도 장관은 “당시 이게 말이 되냐는 생각이 들었다. 그 많은 사람(회원들) 중 누가 시위에 참여했는지 알 수 없고, 불법 시위인지도 알 수가 없는데 발견되면 지원금 받은 걸 다 반납하겠다는 각서를 쓰라 하니 양식을 받고선 너무 기가 막혔다”고 털어놨다.
또 “(작가회의) 총회에 이걸 (안건으로) 붙였더니 원로 소설가, 시인들이 지원금을 아예 받지 말자고 했다. 그래서 유인촌 장관 시절부터 3~4년을 국제행사고, 세미나고, 책이고 정부 지원금을 한푼도 안 받고 책도 안 냈다”면서 “그런데 우리는 그런 적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덧붙였다.
최근 이명박 정부의 국가정보원이 ‘문화예술·연예계 블랙리스트’를 만들어 당시 정부 비판 성향의 문화계 인사를 비롯해 배우, 방송인, 가수 등 연예인들을 감시하고 사찰까지 한 사실이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 산하 적폐청산 태스크포스(TF) 조사 결과 드러났다.
하지만 유 전 장관은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문체부 장관으로) 있을 때 문화예술계를 겨냥한 그런 리스트는 없었다”면서 “요새 세상(정권)이 바뀌니까 그러겠구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배제하거나 지원을 한다는 게 누구를 콕 집어 족집게처럼 되는 일이 아니다”라면서 “우리는 그런 차별을 한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