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숙원사업 대선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준비작업 착수
지자체마다 중장기 대형 숙원사업 발굴과 논리개발 나서
탄핵정국으로 올해 조기 대선이 실시될 것으로 예상되자 지자체들이 대선공약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지역의 숙원사업은 대선 공약으로 채택돼야 예산확보 등이 수월해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전북의 50년 숙원인 새만금국제공항 조감도. 전북자치도 제공
27일 서울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계엄사태 이후 탄핵정국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것에 대비, 각 시도가 대선공약 개발에 나섰다. 지역별로 숙원사업을 총망라해 개발효과가 큰 프로젝트가 공약으로 채택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이는 국민의힘 경제활력 민생특위가 당내 정책위원회, 여의도연구원 등과 함께 정책 어젠다를 발굴하는 협의체를 가동하는 등 정치권의 발걸음이 빨라진데 따른 것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우 전북연구원, 도내 14개 시군 등과 함께 차기 대선 공약 개발에 착수했다. 조기 대선이 치러지지 않는다 할지라도 이번 기회에 지역에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실현 가능성을 높이는 논리를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도와 시군이 필요로 하는 숙원사업을 모두 모아 옥석을 가리기로 했다. 전북연구원도 중장기적으로 지역의 성장, 발전에 도움이 되는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역량을 집중하기로 했다. 완주군도 국제수소거래소 유치를 대선공약 반영을 추진한다.
타 시도 역시 전북과 비슷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광주·전남 등 호남권은 물론 충청, 영남권 지자체도 차기 대선공약 발굴을 준비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지난해 총선공약과 윤석열 정부에서 실현되지 못한 숙원사업, 대형 SOC 사업 등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여 지역의 백년 대계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아직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것이 확정되지 않았지만 지자체 입장에서는 미리 준비한다는 입장에서 숙원사업을 챙겨보고 있다”면서 “전국 지자체가 모두 비슷한 상황이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