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석관동 김희자씨와 ‘예쁜손 봉사단’
매주 독거·치매노인 찾아 미용봉사
“머리 자르면 누구나 기분이 전환”
앞으로는 상담교육도 같이 받을 예정
![김희자씨와 예쁜손 봉사단원들이 3월 14일 서울 성북구 석관동 주민센터에 찾아오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미용봉사를 하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22/SSC_20240422182559_O2.png)
![김희자씨와 예쁜손 봉사단원들이 3월 14일 서울 성북구 석관동 주민센터에 찾아오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미용봉사를 하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22/SSC_20240422182559.png)
김희자씨와 예쁜손 봉사단원들이 3월 14일 서울 성북구 석관동 주민센터에 찾아오신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미용봉사를 하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
김씨는 30년 전 의미 있는 나눔을 해보자는 마음으로 처음 미용사 시험에 도전했다. 이후 2017년부터 이웃 통장 7명과 함께 ‘예쁜손 봉사단’을 만들어서 홀로 거주하거나 경제적으로 어려운 노인들을 찾아 머리카락을 잘라주고 있다. 그런 모습을 보고 구청의 한 직원은 그에게 ‘가위손 통장님’이라는 별명을 붙여주기도 했다. 김씨와 봉사단원들은 현재는 통장직을 내려놨지만 여전히 이웃들에게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
김씨가 처음 미용봉사를 위해 댁을 방문하면 노인들은 대개 우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김씨는 “혼자 사시는 할머니 한 분은 늘 만나면 자기 젊었을 때 얘기를 한다”며 “그러면서 막 우시면서 손을 잡는다. 우리 며느리, 딸, 아들도 나를 안 돌봐주는데 이렇게 머리를 잘라주고 깔끔하게 해줘서 한 달은 너무 행복할 것 같다고 한다”고 했다. 이어 그는 “지금도 하루에 폐지를 주우면 3000원인데 머리를 자르러 가면 노인이라고 싸게 해줘도 10000원이다”고 덧붙였다.
성북구 석관동 주민센터 보건복지팀에서 관리하는 취약계층 가구들이 주 봉사 대상이지만 혼자 사는 노인이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 찾아가고 있다. 김씨는 “한 할아버지는 (돌아가시기) 일주일 전에 이발해드렸는데 일주일 후에 돌아가셨다”며 “처음 찾아갔을 때는 다리가 펴지지 않고, 소주병 한 열 몇병만 딱 (바닥) 위에 있었다. 내가 가서 이발해드리면 너무 좋아하시면서 나 같은 사람을 이렇게 멋쟁이로 만들어 주셔서 너무 감사하다 하시면서 항상 즐거워하셨다”고 했다.
![김희자씨가 3월 28일 석관동 내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을 직접 찾아가 미용봉사를 하고 있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22/SSC_20240422182601_O2.png)
![김희자씨가 3월 28일 석관동 내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을 직접 찾아가 미용봉사를 하고 있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4/22/SSC_20240422182601.png)
김희자씨가 3월 28일 석관동 내 거동이 불편하신 분들을 직접 찾아가 미용봉사를 하고 있는 모습. 김희자씨 제공
김씨는 봉사를 계속하는 이유에 대해서 “보통 다들 머리는 한 달에 한 번씩 자른다. 한 달이 넘다 보면 내가 머리를 감을 때도 그 느낌이 오고, 갑자기 자르고 싶다는 생각이 확 든다”며 “근데 노인들은 얼마나 그게 심하겠냐. 그래서 그분들의 기분을 전환해 드리고 마음에 환기를 시켜드리고 싶다”고 했다.
류머티즘 관절염을 앓고 있는 김씨는 엊그제에도 봉사를 앞두고 손이 움직여지지 않아 곤혹을 치뤘다. 김씨는 “이게 손이 움직여지지 않고 봉사일은 가까워지니 어떡하나 고민하다가 약을 먹고 침을 맞고 그랬더니 다행히도 손이 움직여졌다”며 “남들은 손을 쓰면 안된다 하는데 모두가 언젠가는 손을 못쓰게 된다. 조금 빨리 못쓰냐. 늦게 못쓰냐 그 차이”라고 덤덤하게 이야기했다.
앞으로 김씨는 주민센터에서 진행하는 상담 교육도 받아보고 싶다고 밝혔다. 김씨는 “어르신들을 찾아가면 그분들이 말씀을 하시면서 며느리가 어떻게 했다 막 흉보기도 하신다”며 “단순히 미용봉사 뿐 아니라 상담도 같이 진행하며 (어르신들의) 말씀을 들어보고 싶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