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7년 6월 10일생 김고은씨
사직파출소 앞 발견…미국 입양
한국 학생들 가르치며 ‘뿌리’ 관심
12월에 입양 후 첫 한국 방문
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의 어릴 적 모습과 현재 모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
홀트아동복지회 입양 기록에 따르면 김씨는 1977년 6월 10일에 서울에서 태어났고, 사직파출소 문 앞에서 발견됐다. 이듬해 6월 미국 펜실베이니아의 한 가정에 입양됐다.
김씨는 회계사인 양부와 가정주부인 양모 밑에서 자랐다. 그에게는 양부모가 한국에서 입양한 여동생도 한 명 있었다.
김씨는 코네티컷의 한 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한 뒤 오레곤대에서 연극사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북부의 작은 대학에서 교수로 일하면서 극장 책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씨는 “극은 제가 기억하는 것 중 항상 열정을 가져온 대상”이라며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봄 학기에 한국 학생 4명을 가르치면서 뿌리 찾기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됐다.
오는 12월에는 입양 후 45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을 여행할 계획이다.
한국 여행을 위해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를 몰아서 보는 등 한국어도 배우고 있다.
김씨는 “친가족 찾기가 결코 쉽게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서도 “친가족 찾기는 계속 진행 중”이라며 뿌리 찾기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사직파출소 앞 발견…미국 입양
한국 학생들 가르치며 ‘뿌리’ 관심
12월에 입양 후 첫 한국 방문
“친부모가 입양을 선택한 것을 용서합니다. 그 당시에는 서로를 위한 최선의 방법이었을 거예요. 저는 지금 행복하고 건강하게 살고 있어요. 친부모도 행복하고 건강하길 바랍니다.”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는 29일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에 보낸 뿌리 찾기 사연에서 “친가족을 알 수 있다면 좋을 것”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
![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의 어릴 적 모습과 현재 모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130127_O2.jpg)
![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의 어릴 적 모습과 현재 모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29/SSC_20231129130127.jpg)
미국 입양 한인 제시카 김 로저스(한국명 김고은·46)씨의 어릴 적 모습과 현재 모습. 아동권리보장원 입양인지원센터 제공
김씨는 회계사인 양부와 가정주부인 양모 밑에서 자랐다. 그에게는 양부모가 한국에서 입양한 여동생도 한 명 있었다.
김씨는 코네티컷의 한 대학에서 영문학을 공부한 뒤 오레곤대에서 연극사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북부의 작은 대학에서 교수로 일하면서 극장 책임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씨는 “극은 제가 기억하는 것 중 항상 열정을 가져온 대상”이라며 “좋아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운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봄 학기에 한국 학생 4명을 가르치면서 뿌리 찾기에 본격적으로 관심을 갖게 됐다.
오는 12월에는 입양 후 45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을 여행할 계획이다.
한국 여행을 위해 넷플릭스에서 한국 드라마를 몰아서 보는 등 한국어도 배우고 있다.
김씨는 “친가족 찾기가 결코 쉽게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안다”면서도 “친가족 찾기는 계속 진행 중”이라며 뿌리 찾기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