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 “문제는 근로시간보다 정당한 휴가·보상”

MZ “문제는 근로시간보다 정당한 휴가·보상”

입력 2023-03-22 00:36
수정 2023-03-22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본지, 근로시간 개편 설문조사

‘최대 69시간 근무’ 반대가 80%
“몰아서 일해도 쉬기는 어려워”
“연차 쓸 수 있는 노동 환경부터”

이미지 확대
“쉬는 걸 권장하는 회사가 있을까요?”(30대 사무직 임모씨)

“일당백을 칭찬으로 여기고 위기가 오면 인건비부터 절감하는 게 현실입니다.”(20대 영업직 최모씨)

정부가 추진하는 근로시간 유연화에 대한 2030 직장인 상당수 의견은 부정적이었다. 지금도 야근을 많이 하는 만큼 수당만 잘 챙겨주면 좋겠다는 ‘조건부 찬성’ 의견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쉰다는 정부 구상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말한다. 이미 정책을 발표한 뒤 현장 의견을 듣겠다고 해 큰 틀이 바뀌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주 60시간이든, 69시간이든 개편안이 성공하려면 휴가·보상 제도부터 정비해야 한다”는 2030 직장인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신문은 지난 15~16일 서울 광화문, 종로, 여의도, 사당, 강남, 경기 성남 판교 등 직장인 밀집 지역에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로 불리는 2030 직장인 58명을 인터뷰했다. 또 지난 15~19일 2030 직장인 95명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도 실시했다.

정부에서 주 최대 69시간 근무제를 내놓으며 몰아서 일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밝힌 대표 업종이 게임업계다. 신규 게임 출시나 업데이트 등을 앞두고 업무량이 늘면 현재의 주 52시간 근무제로는 ‘공짜 야근’을 부추긴다는 것이다. 그러나 판교에서 일하는 게임업계 기획자 김모(39)씨는 “야근을 많이 해 봤지만 일을 몰아서 한다고 효율이 늘어나는 게 아니다”라며 “결국 노동자보다 사업자를 위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며 고개를 저었다.
이미지 확대
정보기술(IT) 회사에 근무하는 최모(28)씨는 “연장근로를 몰아서 할 수 있게 한다는 생각 자체가 위험하다”면서 “고용주는 ‘나중에 쉬게 해 줄 건데 뭐가 문제냐’며 연장근로에 대한 미안함을 느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연구개발(R&D) 업무를 하는 고모(26)씨는 “정부 계획대로라면 회사가 특정 기간에만 바빠야 하지만 대부분 회사는 그렇지 않다”고 했다.

직장인 9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도 주 69시간까지 근무시간이 늘어나는 것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이 80%로 압도적이었다. 금융업계 직원 이모(29)씨는 “지금도 주 40시간 근무가 ‘정상’인데 52시간을 기본으로 보고 있지 않느냐”며 “기업 입장에서는 최대치를 최소로 본다. 60시간이든 69시간이든 상한선이 올라가면 또 그만큼 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정부는 ‘몰아서 일한 뒤 유럽처럼 한 달 쉬기’를 대안으로 내놨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도 개편안에 반대하는 주요 이유였다. 응답자의 44%가 “일을 몰아서 할 순 있어도, 몰아서 쉬는 건 어렵다”고 답했다. ‘현재 근로시간도 길다’(22%), ‘건강권 침해 우려’(16%), ‘노조 없는 사업장은 악용 가능성 크다’(13%)는 순으로 답변이 이어졌다.

해외 영업직인 이모(37)씨는 “제조 공정은 매일 돌아간다. 몰아서 일은 해도 몰아서 쉬는 건 어렵다”며 “지금도 일주일 이상 휴가를 쓰면 눈치를 주는데, 어떻게 한 달을 쉬란 말인지 모르겠다”고 했다. 패션업계에서 일하는 안모(33)씨는 “2주 야근하면 원래 일이 많다는 건데, 나머지 2주는 일이 없겠냐”며 “회사 일이라는 게 그렇게 딱딱 나누기가 어렵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회사와 업무의 종류에 따라 자유롭게 근무하도록 하는 방식 자체는 긍정적이라는 평가도 있었다. 광고회사에 다니는 최모(27)씨는 “프로젝트성으로 일하는 회사는 지금도 바쁠 때 주 52시간 이상 일한다”며 “법정 최대 근로시간이 늘어나면 오히려 추가 수당을 받을 수 있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고 했다. 패션 브랜드에서 근무하는 조모(27)씨도 “근무시간을 늘리면 원하는 만큼 일하고 돈 버는 게 좋을 것 같다”고 했다. 이들 역시 연차 사용이 어려운 업무 환경을 개선하고, 야근이나 추가 노동에 대해선 적절하게 보상을 해 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모(30)씨는 “현행 주 52시간제를 유지하되 필요한 업종에만 초과 근로를 가능하게 하고 그에 맞는 휴가와 보상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서울대 학생 모임인 ‘비정규직 없는 서울대 만들기 공동행동’은 이날 학생회관 등 교내에 붙인 대자보를 통해 “62시간 노동을 하던 경비노동자가 종로구의 빌딩에서 쓰러져 세상을 떠났다”며 “69시간제 노동시간 연장은 즉각 철회돼야 한다”고 밝혔다.
2023-03-22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