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리유-비에나래, 돌싱남녀 516명 대상 설문
여성이 전 배우자에 대해 더 부정적 평가
![이혼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2/SSC_20230312092401_O2.jpg)
![이혼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3/12/SSC_20230312092401.jpg)
이혼 자료사진. 아이클릭아트
14일 결혼정보회사 온리-유는 비에나래와 (황혼)재혼 희망 돌싱남녀 516명(남녀 각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공개했다.
‘전 배우자의 생활자세 등으로 보아 그(녀)와 행복한 결혼생활을 영위할 이성이 얼마나 있을 것 같습니까?’라는 질문에 대해 남성은 응답자의 59.3%가 긍정적인 답변을 골랐지만, 여성은 62.0%가 부정적으로 응답했다.
긍정적인 답변의 경우, 남성 21.3%·여성 9.3%가 ‘대부분의 상식적인 이성은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했고, 남성 38%·여성 28.7%가 ‘특별히 문제없는 이성은 행복하게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부정적인 답변은 남성의 27.5%·여성의 43.8%가 ‘소수의 특별한 이성을 제외하고는 행복하게 살기 힘들 것’이라고 봤다. 또 극단적으로 ‘어떠한 이성도 행복하게 살기 힘들 것’이라고 답변한 비중은 남성과 여성이 각각 13.2%·18.2%를 차지했다.
결혼생활 힘들었던 이유 男 “부부간 조화” 女 “상대에 문제”두 번째 질문인 ‘전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이 힘들었던 가장 큰 이유’를 묻는 질문에서도 남녀 간 의견차가 컸다. 남성은 ‘부부조화상의 문제’로 답한 비중이 33.3%로 가장 많았고, ‘본인에게 문제(25.2%)’와 ‘상대에게 문제(22.1%)’ 등의 대답이 뒤따랐다.
여성은 ‘상대에게 문제(34.1%)’가 결혼 생활이 힘들었던 원인으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이어 ‘부부조화상의 문제(26.4%)’, ‘배우자 가족의 문제(19.3%)’ 등의 대답이 나왔다.
다음으로 ‘전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은 어떤 식으로 진행되었습니까?’라는 질문에서도 남성보다 여성이 결혼생활 전반을 좀 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남성은 ‘굴곡이 있었다(31.0%)’와 ‘무난했으나 막판에 심각한 문제 발생(28.3%)’이라는 답변을 1, 2순위로 골랐다. 여성은 ‘(결혼 기간) 대부분 힘들었다(39.2%)’와 ‘굴곡이 있었다(27.5%)’를 가장 많이 꼽았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결혼했다가 이혼을 한다는 것은 부부 중 어느 한쪽 혹은 쌍방 모두가 결혼생활에 한계를 느꼈기 때문”이라며 “일반적으로 남성이 이혼의 원인을 더 많이 제공할 뿐 아니라 남성은 가장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결혼생활에 문제가 생기면 책임감을 더 많이 느끼는 경향이 있으므로 전 배우자에 대한 인식은 여성이 더 부정적이고 박한 편”이라고 분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