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는 모습.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03/SSI_20221003195414_O2.jpg)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는 모습.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10/03/SSI_20221003195414.jpg)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를 살펴보는 모습. 서울신문 DB
26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이 내놓은 ‘2021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 따르면 2020년 8월과 지난해 2월 일반대학과 전문대학, 대학원 등 고등교육기관을 졸업한 54만 9295명의 지난해 말 기준 취업률은 67.7%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보다 2.6% 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대졸자 취업률은 2018년 67.7%에서 2019년 67.1%, 2020년 65.1%로 계속 떨어졌는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올라선 것이다. 수도권 대학 취업률(69.8%)은 3.0% 포인트 올랐고, 비수도권 취업률(66.3%)은 2.4% 포인트 회복돼 지역 격차(3.5% 포인트)는 소폭 더 벌어졌다.
고용 안정성과 질은 다소 나빠졌다. 전체 취업자 중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90.4%로 전년(91.0%)보다 0.6% 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프리랜서 비중은 같은 기간 0.7% 포인트 오른 6.5%였다. 또 1인 창(사)업자(1.9%)도 0.2% 포인트 상승했다.
취업 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한 비율도 전년 대비 0.3% 포인트 떨어진 79.7%로 조사됐다. 2020년 취업한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의 20.7%는 1년 안에 일자리를 옮겼다. 이는 전년(17.4%)보다 3.3% 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졸업생이 줄고 고용시장이 회복해 취업자가 늘었다”면서도 “1인 창업자나 프리랜서 비중이 높아지는 고용시장의 트렌드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