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비가 기재부에서 절반으로 삭감
일감 부족과 저임금 구조 속 조선업 인력난 가중될 우려
전북, 부산, 울산, 전남, 경남 등 5개 지자체와 정치권은 국회 단계에서 예산 살리기 나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군산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2/17/SSI_20220217095725_O2.jpg)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군산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2/17/SSI_20220217095725.jpg)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군산시 제공
19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산업부는 전북, 부산, 울산, 전남, 경남 등 5개 지역 대상으로 조선업 생산기술 인력양성 사업 추진하고 있다. 일감 부족과 저임금 구조 속에 2015년부터 꾸준히 감소한 조선업 인력 문제 해결이 목적이다. 사업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간 국비 360억원, 연간 120억원을 투입해 최근 수주실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생산역량을 확보하고 숙련인력 고용유지 및 복귀와 원활한 신규인력 공급을 지원하는 게 핵심이다.
그러나 기재부가 내년 사업비를 60억원으로 반 토막 내면서 인력 확보에 나선 각 지자체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 가뜩이나 인력난에 골머리를 앓는 조선소 입장에선 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 지원마저 줄어들면서 어려움이 가중될 전망이다.
특히 오는 28일 ‘선박 블록 절단식’을 시작으로 5년 만에 재가동을 앞둔 군산조선소는 물량 확보에 앞서 인력 확충이라는 급한 불 먼저 꺼야 될 상황이다. 군산조선소는 내년까지 917명의 인력이 필요한데 올해는 449명만 확보할 수 있다. 당초 도는 국비 40억원에 지방비 20억원을 매칭하면 내년에 468명을 교육해 필요 인원을 채울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현재 정부안을 보면 국비 24억원과 지방비 8억 6000여만원만 반영됐다. 삭감된 예산으로는 240명 정도만 교육이 가능하다. 군산조선소가 재가동에 들어가더라도 정작 일할 사람이 없어 제대로 운영될지 미지수다.
![경남지역 조선소에서 진수된 세계최대 컨테이너 선.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8/SSI_20211008011538_O2.jpg)
![경남지역 조선소에서 진수된 세계최대 컨테이너 선. 서울신문 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08/SSI_20211008011538.jpg)
경남지역 조선소에서 진수된 세계최대 컨테이너 선. 서울신문 DB
전남 역시 내년에 480명의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었지만 예산 삭감으로 최대 300명만 교육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현장의 우려가 크다.
전북도는 부산, 울산, 전남, 경남 등 다른 지자체와 함께 예산 살리기에 나설 태세다. 각 지역 정치권과 합심해 국회 단계에서 내년 예산 120억원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협력업체 확보와 블록생산에 필요한 기술인력 양성이 시급한 만큼 이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며 “지역 정치권과 함께 예산 증액을 요구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