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이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8호로 지정된 영괴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2/SSI_20220802132118_O2.jpg)
![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이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8호로 지정된 영괴대.](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2/SSI_20220802132118.jpg)
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이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8호로 지정된 영괴대.
아산시는 원도심 개발과 온양행궁 복원 여론이 상충하는 가운데 ‘온양행궁 국가지정 등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2일 밝혔다.
아산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진행된 조사에서는 1909년 촬영한 온양행궁 탕실 사진과 신정비를 확인해 온양행궁을 복원으로 가야 한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온양행궁은 세종 때인 1433년 1월 25칸 규모로 완성됐지만, 일제강점기 숙박업소로 전락했고, 1967년 국내 최초의 관광호텔인 온양관광호텔이 문을 열었다.
온양행궁 터인 온양관광호텔 내에는 조선시대 온천욕을 하러 온 사도세자가 활을 쏜 영괴대(228호)와 세조의 행차를 기념해 세운 신정비(229호), 온천리 석불(227호) 등이 충남 문화재자료로 지정돼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 개발압력으로 문화재 보존환경 열악과 재현 예산 확보 어려움 등이 온양행궁 복원의 난제로 꼽히고 있다. 무엇보다 문화재 보호법에 지방 문화재는 300m가 보호구역으로 설정돼 개발 행위 등이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에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7호로 지정된 온천리 석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2/SSI_20220802132210_O2.jpg)
![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에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7호로 지정된 온천리 석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8/02/SSI_20220802132210.jpg)
충남 아산의 온양관광호텔에 있는 충남 문화재자료 제227호로 지정된 온천리 석불.
원도심 주민과 개발 관계자들은 온천리 석불 등 충청남도 지정 문화재자료로 원도심 개발이 제한돼 지역민의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며 문화재 이전에 따른 지역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아산시는 지난 2001년부터 2008년까지도 온궁 문화재 지정과 복원을 추진했지만, 문화재청과 충남도 부정적 의견 등으로 아무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아산시 관계자는 “온양행궁은 아산의 중요한 역사 자산이지만 도심 한가운데 위치해 도시개발이 지체된다는 주민의 우려와 걱정도 많다”며 “12월 최종 보고에서는 어떻게 도심개발과 조화롭게 활용할 수 있는지 혜안을 담아내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