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51일째인 22일 오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1독 인근에 경찰이 배치돼 있다. 2022.7.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22/SSI_20220722180025_O2.jpg)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51일째인 22일 오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1독 인근에 경찰이 배치돼 있다. 2022.7.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22/SSI_20220722180025.jpg)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 파업 51일째인 22일 오전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1독 인근에 경찰이 배치돼 있다. 2022.7.22 연합뉴스
당초 노동계는 대우조선이 휴가에 들어가는 23일을 협상 마지노선으로 봤다. 노사 양측은 휴가 전 협상을 마무리짓기 위해 지난 20일부터 교섭에 총력을 기울였다.
노사는 지난 20일 오후 11시 30분까지 계속된 마라톤협상에서 임금 인상안 등에는 모두 합의를 이뤘으나 손해배상 소송 청구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을 타결하지 못했다. 전날 오전 재개된 교섭에서도 노사는 줄다리기를 계속했으나 입장은 평행선을 달렸다. 하청업체 측은 이번 파업에 따른 손실이 2000억원이 넘어 하청노조원들에 대한 손배소를 취하하면 주주에게 손해를 끼치게 돼 배임죄로 처벌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결국 이날 노사는 오전 8시부터 합의를 시작해 오후 4시 10분쯤 진통 끝에 잠정 합의안을 도출해냈다. 임금 4.5% 인상과 명절 휴가비 50만원·여름휴가비 40만원 지급 등의 내용을 담았다. 다만 막판까지 최대 쟁점이었던 손배소는 미결로 남겼다.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인 권수오 녹산기업 대표(왼쪽)와 홍지욱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2022.7.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22/SSI_20220722175930_O2.jpg)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인 권수오 녹산기업 대표(왼쪽)와 홍지욱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2022.7.22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2/07/22/SSI_20220722175930.jpg)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인 권수오 녹산기업 대표(왼쪽)와 홍지욱 금속노조 부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있다. 2022.7.22 연합뉴스
이날 협상이 타결되자 민주노총 금속노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51일의 파업 투쟁이 사회적 승리를 거뒀다”며 “조선하청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정부를 포함한 조선산업원·하청 노사, 노동시민사회단체, 정당, 종교계 등에 범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