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병상 확보를 위한 컨테이너 임시병상 설치 공사가 한창이다. 2020.12.1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2/18/SSI_20201218111705_O2.jpg)
![지난해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병상 확보를 위한 컨테이너 임시병상 설치 공사가 한창이다. 2020.12.17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2/18/SSI_20201218111705.jpg)
지난해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코로나19 병상 확보를 위한 컨테이너 임시병상 설치 공사가 한창이다. 2020.12.17 연합뉴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15일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 중환자실 가동률이 올라가고 있지만, 전국적으로는 여유가 있다”고 말했다.
박향 중수본 방역총괄반장도 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 인터뷰에서 “현재까지는 수도권 중증 병상이 많이 소진되고 비수도권은 여유 있는 상황”이라며 “준중환자 병상을 확보하는 행정명령을 내려서 효율화에 신경 쓰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수도권 중증 환자 병상 가동률은 74.2%로,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 추진을 중단하는 ‘비상계획’ 발동 기준의 예시로 제시한 ‘중환자실 가동률 75%’에 거의 도달했다. 서울은 76.2%로 이미 이 기준을 넘어섰다. 인천은 73.4%였지만, 인천시가 전날 발표한 중증 병상 가동률은 75.9%로 역시 75%를 넘겼다.
손 반장은 비상계획 발동 기준에 대해 “‘전국적으로’ 중환자실 가동률이 75%를 넘으면 비상조치를 검토한다는 기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오는 16일 비상계획 발동 기준 등 세부 지침을 발표할 예정이다.
그는 위중증 환자와 함께 전체적인 확진 규모, 유행 양상 등이 중요한 기준이라면서 “전체 확진자 규모 자체는 2000명대 중후반을 유지하고 있는데, 5000∼7000명까지 대비하던 상황에 비춰보면 전체 유행 증가세가 가파른 것은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을 받고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었다. 2021.10.15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5/SSI_20211015170554_O2.jpg)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을 받고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었다. 2021.10.15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0/15/SSI_20211015170554.jpg)
문재인 대통령이 15일 서울 국립중앙의료원 코로나19 중앙예방접종센터에서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추가 접종을 받고 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었다. 2021.10.15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손 반장은 “취약시설 감염을 얼마나 차단하느냐가 위중증 환자 증가세를 가늠하는 데 중요하다”며 “추가접종을 서두르고, 종사자의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강화하는 등 조치의 효과가 얼마나 나타날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반장은 “위중증 환자 수가 많아진 것은 전체 확진자 규모가 늘어난 영향으로, 누적 치명률과 위중화율은 과거에 비해 크게 늘지 않았다”며 “돌파감염 발생 연령대가 60대 이상이 많다 보니 위중증으로 가는 사례가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고령층 추가접종 시기를 접종 완료 후 6개월에서 5개월로 단축하는 방안에 대해 박 반장은 “질병관리청에서 논의하고 있는데 확정되지 않았다. 아직은 논의가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 수 등 지표가 계속 악화하면 다음 달 단계적 일상회복 2단계 이행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 1일 단계적 일상회복 1단계를 시작하면서 총 6주(4주 시행+2주 평가) 뒤 2단계 전환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2단계 이행은 2주간 상황을 보면서 결정할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중환자실 확대 조처를 했다. 위중증 환자가 가파르게 증가하지 않으면 상황 자체는 안정되지 않을까”라며 “앞으로 위중증 환자가 얼마나 더 증가하느냐가 중요할 텐데 아직 시간 여유가 있으니 충분히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