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속주 지켜 온 박환희씨의 한숨
고향 대구 달성군서 술 빚기 30년 몰두국제식음료품평회 ‘우수 미각상’ 쾌거
市 지원 약속 깨고 정부 규제로 자금난
“제조장·생산시설 전체 매물로 내놨다”
대구 무형문화재 11호 기능보유자인 박환희 하향주가 영농조합법인 대표가 26일 하향주 전통조주법의 맥을 이어 갈 수 없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대구 무형문화재 11호 기능보유자인 박환희(71) 하향주가 영농조합법인 대표는 26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천년 역사를 이어 온 우리 술 하향주를 세계적인 명주로 업그레이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정부와 자치단체의 천대와 규제 장벽을 넘는 데는 끝내 실패했다”며 이렇게 한탄했다.
박 대표는 30년 가까이 고향인 대구 달성군 유가읍에서 홀로 민속주인 하향주 빚기에만 몰두해 왔다. 술에서 연꽃의 향기가 난다고 해서 이름 붙여졌다는 하향주는 신라 고찰 비슬산 유가사에서 담그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향주
그러나 박 대표는 “이제 자금난으로 하향주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며 고개를 떨궜다. 그는 “대구시가 2013년 하향주 발효와 숙성 시설 구축 등을 위해 약속한 지원금 5억원과 창업자금 10억원 대출 지원을 하지 않아 극심한 자금난 속에도 9년여를 참고 견뎠다”면서 “하지만 이제는 더이상 버틸 수가 없어 하향주 제조장과 생산시설 전체를 매물로 내놨다”고 했다. 감정이 복받쳤는지 잠시 말을 잇지 못했던 그는 “우리 술 명주 빚기를 위해 전 재산을 털어 도가를 짓고 반평생 죽도록 일만 한 결과가 이렇게 비참하다. 조만간 대구시에 무형문화재 보유자 자격을 반납하겠다”며 연신 눈물을 훔쳤다.
마지막으로 박 대표는 “정부도 영세한 도가들이 힘겹게 전통주를 계승·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기는커녕 농림축산식품부, 여성가족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국세청 등 여러 기관이 나서 오히려 규제와 간섭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전통주 복원을 위한 정부 예산 지원도 도가가 아닌 대학과 관련 연구원에 집중돼 전통주 도가들의 어려움은 갈수록 가중되고 있으며, 전수자마저 사라지고 있다”고 한숨지었다.
글 사진 대구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21-05-27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