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후 서울 한 쪽방촌 일대 주택 빨랫줄에 세탁한 마스크가 걸려 있다. 2020.3.16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17/SSI_20200317053128_O2.jpg)
![16일 오후 서울 한 쪽방촌 일대 주택 빨랫줄에 세탁한 마스크가 걸려 있다. 2020.3.16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03/17/SSI_20200317053128.jpg)
16일 오후 서울 한 쪽방촌 일대 주택 빨랫줄에 세탁한 마스크가 걸려 있다. 2020.3.16 연합뉴스
주로 고시원이나 쪽방, 여인숙, 지하창고 등 비주택이나 주거 환경이 열악한 반지하에서 살던 사람들이 그 대상이다. 이들 가운데 461명은 지난해 공공임대주택 입주까지 완료했고, 나머지 780명은 입주를 앞두고 있다.
시는 상담을 통해 공공임대주택 입주 지원 기준에 부합하는 주거취약계층 대상자의 공동임대주택 입주 신청을 도왔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이 입주 후에도 가스요금·전기요금 할인 등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안내하고 필요한 자활·돌봄서비스를 연계했다.
시는 올해부터 대상자 발굴 지역을 기존 중·용산·동작·관악·구로구에서 성북·노원·광진·금천구를 포함해 9개 구로 늘리기로 했다. 강남구와 양천구는 시와 별도로 국토교통부 주거상향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돼 이를 자체 추진 중이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