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코로나 준비·방역·민생경제 중점
올보다 1.3%↑… 일각 “재정건전성 우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무위원식당에서 열린 제9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0.10.2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28/SSI_20201028093229_O2.jpg)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무위원식당에서 열린 제9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0.10.28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0/10/28/SSI_20201028093229.jpg)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8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국무위원식당에서 열린 제9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발언하고 있다. 2020.10.28 연합뉴스
서울시는 2021년 예산안을 올해보다 5120억원(1.3%) 증가한 40조 479억원으로 편성해 지난달 30일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2일 밝혔다. 서울시 예산안이 40조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내년 예산안은 코로나19와 공존이 불가피한 ‘위드(WITH) 코로나’ 시대에 적극 대응하는 동시에 코로나19 종식 이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대비에 방점을 찍었다. 이를 위해 시는 ▲S방역체계 강화 ▲민생경제 회복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 등 3대 분야에서 7대 과제에 집중 투자한다. 가장 중점을 두는 분야는 방역체계로 3146억원이 책정됐다. 방역물품 비축, 백신 개발 지원, 무료 예방접종 등 감염병 상시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958억원이 투입된다. 이를 위해 내년 8월 서울의료원에 동북권 응급의료센터를 준공하고, 보라매병원에 안심호흡기 전문센터를 추진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92억원이 편성됐다. 대중교통과 복지시설 등 공공장소 방역 강화에는 447억원이 투입된다.
코로나19로 인한 불황을 극복하고 민생경제를 되살리는 데는 7조 7311억원이 투입된다. 일자리 예산 2조 1576억원을 편성해 직간접 일자리 약 39만 3575개를 창출할 예정이다. 사회 안전망 강화에는 5조 4925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지난 1월부터 소득 하위 40%에게 월 최대 30만원을 지급해 온 기초연금을, 내년 1월부터는 소득 하위 70%로 확대해 2조 5332억원을 투입한다. 비대면·혁신성장 산업을 육성하고 청년층을 지원하는 데 5604억원을 편성했다.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올해 39조원에 이어 내년에도 40조원 넘는 예산을 편성하면서 재정건전성이 악화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에 대해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기본적으로 어려운 경제 요건을 감안해 확대 재정에 나섰다”면서 “S&P 신용평가 AA등급을 유지하고 있고, 행안부 예산 대비 채무비율 25%에도 부합한다”고 주장했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20-11-03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