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직장인 70% “육아휴직 희망”…실제로는 “눈치 보여”

남성 직장인 70% “육아휴직 희망”…실제로는 “눈치 보여”

곽혜진 기자
입력 2020-01-04 11:36
수정 2020-01-04 1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남성 육아휴직 의향 5년 새 3배 이상 높아져

이미지 확대
남녀고용평등법 시행령 개정으로 내달 28일부터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을 쓸 수 있고, 육아휴직급여 또한 모두에게 지급된다. 부부 공동육아에 대한 인식과 제도가 개선됨에 따라 남성 직장인 10명 중 7명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잡코리아가 최근 남녀 직장인 1578명을 대상으로 ‘남성 육아휴직’에 대해 모바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남성이 아내 대신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을 묻자 87.3%(여성 88.7%, 남성 84.9%)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특히 남성 직장인 중 70.5%가 “배우자 대신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2015년 조사 당시 22.5%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3배 이상 급증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인식 변화와 제도 개선에도 불구하고 실제 회사에서 육아휴직을 내기는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직장인이 육아휴직을 “마음 편히 사용할 수 있다”는 응답은 11.1%인 데 반해 “사용할 수 없다”는 답변은 38.4%에 이르렀다. 또 “눈치는 보이지만 사용할 수 있다”는 남성 직장인은 50.5%였다.

남성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로는 ▲남자들이 육아휴직을 안 쓰는 회사 분위기 (40.6%) ▲승진·인사 평가 등에서 불이익을 받을 우려 (17.2%) ▲돈을 벌어야 해서 (15.7%) 등이 꼽혔다.

실제로 사내에 육아휴직을 쓴 남성 직원이 있다고 응답한 직장인은 26.2%에 그쳤다. 이들 중 공기업 직장인이 49.7%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45.3%), 외국계 기업(32.1%), 중소기업(20.0%)이 뒤를 이었다.

일과 가정의 양립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응답자의 55.4%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41.3%는 “완벽하진 않지만 어느 정도 가능하다”고 답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