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구리 소년’ 사건 관련 제보 확인 중
![화성 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 이모(56)씨가 1994년 처제 성폭행·살인사건으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모습. KBS 자료화면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20/SSI_20190920103121_O2.jpg)
![화성 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 이모(56)씨가 1994년 처제 성폭행·살인사건으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모습. KBS 자료화면 캡처](https://img.seoul.co.kr//img/upload/2019/09/20/SSI_20190920103121.jpg)
화성 연쇄살인사건 유력 용의자 이모(56)씨가 1994년 처제 성폭행·살인사건으로 경찰 조사를 받고 있는 모습. KBS 자료화면 캡처
경찰청 관계자는 23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화성 사건은 DNA 일치 판정이 나왔지만 실제 피의자가 맞느냐 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서류를 다 분석해서 DNA 이외에 행적이라든지 관련 증거를 수집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며 “굉장히 어려운 작업이고 교도소에서 용의자를 면담해야 해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주에 용의자를 면접했고 이번 주도 (방문 조사를) 계획하고 있다”며 “추가로 DNA 검사를 의뢰한 부분은 신속히 해 달라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독촉했다. 결과에 따라서 (조사) 방향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민갑룡 경찰청장은 이날 화성 사건의 공소시효가 지나 처벌이 이루어지기 어렵더라도 실체적 진실을 발견하기 위해 수사를 이어 가겠다고 강조했다. 또 미제사건 전담팀의 사기 진작과 역량을 보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했다. 민 청장은 “경찰 수사의 주목적은 실체적 진실 발견이고 처벌은 그다음 문제”라며 “중요한 사건이 해결이 안 되고 남아 있으면 사건 관련자들이 고통에 시달리게 되고 사회 전체가 불안과 두려움에 휩싸이게 된다”고 말했다.
민 청장은 1991년 초등학생 5명이 실종됐다가 10년여 만에 숨진 채 발견된 이른바 ‘개구리 소년’ 사건과 관련해 “몇 건 제보가 들어온 것들을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민 청장은 지난 20일 대구 와룡산 세방골 개구리 소년 유골 발견 현장을 방문해 장기 미제사건 해결의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9-09-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