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월 5일부터 3월 30일까지 전국 약 8만 5000여개의 교육기관 시설물을 대상으로 안전진단을 실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진단은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학생들이 사용하는 모든 건물을 포함해 해빙치 취약시설인 축대와 옹벽, 대학실험실, 학교 내 어린이 놀이시설 등이 대상이다. 시도 교육청 7만 2126개 시설, 대학 등 1만 3641개 시설 등 총 총 8만 5817개 시설물이 점검을 받는다.
이번 안전진단에는 지난해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한 피해학교 110곳 중 건물 등 구조체에 피해가 발생한 6곳에 대해 민관합동점검이 실시된다. 민관합동점검반에는 반드시 학생과 학부모 등 민간인과 구조·소방·전기 등에 대한 민간전문가를 포함하도록 했다. 기숙사와 합숙소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해서는 특별 소방점검과 함께 야간화재 대피훈련도 실시된다.
교육부는 이번 점검 결과 구조적 위험성이 발견된 경우에는 전문기관에 정밀점검을 의뢰할 계획이다. 또 시설사용자(학교장 등)가 실시하는 자체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자율점검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표본을 정하여 이행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이번 안전진단에는 지난해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한 피해학교 110곳 중 건물 등 구조체에 피해가 발생한 6곳에 대해 민관합동점검이 실시된다. 민관합동점검반에는 반드시 학생과 학부모 등 민간인과 구조·소방·전기 등에 대한 민간전문가를 포함하도록 했다. 기숙사와 합숙소 등 화재취약시설에 대해서는 특별 소방점검과 함께 야간화재 대피훈련도 실시된다.
교육부는 이번 점검 결과 구조적 위험성이 발견된 경우에는 전문기관에 정밀점검을 의뢰할 계획이다. 또 시설사용자(학교장 등)가 실시하는 자체점검 대상 시설물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자율점검이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표본을 정하여 이행 실태를 점검할 예정이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