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 후 살쪄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줄어든다”

“금연 후 살쪄도 심근경색·뇌졸중 위험 줄어든다”

강경민 기자
입력 2018-01-18 10:40
수정 2018-01-18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흡연자보다 심근경색 위험 67%, 뇌졸중 위험 25% 줄어서울의대 연구팀, 40세 이상 남성 10만8천명 장기 추적결과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들은 흔히 “살이 너무 많이 쪄서 담배를 끊을 수 없었다”고 변명하곤 한다. 살이 찌는 부작용으로 금연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억지’ 주장을 담은 말이다.

하지만 이제 이런 변명은 통하지 않을 전망이다. 담배를 끊은 후 살이 찌더라도 심근경색과 뇌졸중을 줄이는 금연의 긍정적인 효과는 그대로라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서울의대 가정의학과 이기현(분당서울대병원)·박상민(서울대병원) 교수, 김규웅(대학원 의과학과)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2002∼2005년 사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에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이 없었던 40세 이상 남성 10만8천242명을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추적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저명 국제학술지인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 1월호에 발표됐다.

논문을 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46.2%(4만9천997명)가 지속적인 흡연자였으며, 48.2%(5만2천218명)가 비흡연자, 5.6%(6천27명)가 금연자로 각각 분류됐다.

금연자 중 금연 이후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BMI가 1(㎏/㎡) 이상 증가한 사람은 27.1%(1천633명)였다. 담배를 끊고 나서 4명 중 1명 이상은 체중이 불어난 셈이다. 반면 61.5%(3천710명)는 금연 후에도 BMI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11.3%(684명)는 되레 BMI가 1 이상 감소한 것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금연 이후 BMI 증감 여부가 심근경색증과 뇌졸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했다.

이 결과, BMI가 증가한 금연자의 경우 지속적인 흡연자에 견줘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67%, 25% 감소했다. 또 BMI에 변화가 없는 금연자도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가 각각 45%, 25%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금연 이후 BMI가 줄어든 금연자는 위험도 감소 효과가 심근경색 9%, 뇌졸중 14%에 머물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BMI가 줄어드는 건 조사 기간에 다른 기저질환이 생김으로써 금연에 따른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도 감소 효과를 반감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는 추정을 내놨다.

박상민 교수는 “금연하면 장(창자)으로 이어지는 혈관이 니코틴에 의해 수축하는 게 중단됨으로써 혈관이 팽창하고, 이는 영양소 흡수량 증가에 따른 체중 증가로 이어진다”면서 “체중이 불어나더라도 금연을 지속하면 죽상동맥경화증에 의한 심근경색, 뇌졸중 위험이 낮아진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기현 교수는 “기존에는 금연 후 뒤따르는 체중 증가와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때문에 금연이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하는 데 과연 효과가 있을지를 두고 의견이 분분했다”면서 “이번 연구결과가 증명하듯 체중 증가가 금연으로 인한 효과를 저해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다만 담배를 끊고 난 이후에도 과도한 체중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운동과 식이조절 등의 건강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